컨텐츠 바로가기

[김세완의 주말경제산책] 한국에 한중일 통합 상품거래소 유치하자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별 성과 없이 끝나 버렸지만 20년 전 노무현 정부가 추진하였던 동북아시아 금융허브는 옳은 정책이었다. 또다시 기회가 찾아오는 듯하였는데 2020년 이후 중국이 홍콩을 실효적으로 지배하게 되면서 글로벌 금융기관들이 우리나라로 온다는 소문이 있었다. 이 역시 아직까지 별 소식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화와 밸류업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우리 금융산업이 가야 할 방향이다.

현실적으로 금융산업의 국제화가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세금 문제에 있다. 소득이 높은 외국 금융업 종사자들은 소득세가 낮지 않은 한국으로 올 이유가 없다. 그렇다고 외국인만을 위해 세율을 낮추기도 어렵다. 내국인·외국인 간 소득세 차별은 금융산업 국제화를 추진하는 일본과 중국도 조심하는 문제이다.

그렇다고 여기서 금융산업의 국제화를 그냥 포기하여야 할까? 그래도 가장 가능성이 높은 방법이 광물과 농산물의 한국·중국·일본 통합 상품거래소를 한국에 유치하는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많은 글로벌 금융기관들이 따라 들어오고 우리나라 금융산업도 같이 발전할 것이다. 금융산업 종사자가 크게 늘어나는 점도 또 다른 이점이다. 마음대로 상상만 해본다면 우리나라에 한·중·일 통합 주식거래소나 채권거래소를 유치한다면 좋겠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주식과 채권 거래소에는 아직 각국의 자존심이 걸려 있기 때문이다. 2010년 호주와 싱가포르의 증권거래소가 합병을 발표하기도 하였지만 호주 국회의 반대로 무산된 적도 있다.

하지만 한국의 영토에 세 나라의 통합 광물·농산물 상품거래소를 설립하는 것은 중국과 일본이 경제적 효용과 자존심 사이에서 양보를 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그렇게 된다면 우리나라 금융산업은 장기적으로 반도체와 같은 글로벌 경쟁력을 가지게 될 것이다. 노령화로 약해지는 우리 경제에서 금융산업의 국제화는 필수적이다. 역동적인 자본시장은 끊임없이 혁신 기업에 자금을 공급하고 청년들이 선망하는 괜찮은 직업을 공급하기 때문이다. 물론 쉬운 일이 아니다. 3국 간 과거사 문제와 외교적인 어려움을 극복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한국·중국·일본 모두에 통합 상품거래소가 필요한 경제적인 이유는 세 나라가 글로벌 경제에서 광물과 농산물의 최대 수요 국가들이라는 점이다. 미국 지질조사국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중·일은 이미 세계 최대 광물 소비국으로 2023년 기준 철광석, 구리, 니켈 등 주요 광물 글로벌 수요의 60% 이상을 차지한다. 농산물도 마찬가지이다. 유엔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한국·중국·일본의 통합 농산물 수요는 글로벌 수요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광물과 농산물의 가격은 대부분 시카고상품거래소(CME), 런던금속거래소(LME),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결정된다. 그동안 세 나라는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큰 수요자이지만 대접을 받지 못하고 가격 결정에 있어서 배제되어 왔다.

통합 상품거래소의 또 다른 경제적 이익은 환율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한·중·일은 원자재 거래에서 미국 달러를 사용하고 있는데 통합 상품거래소가 원화, 위안화, 엔화를 기반으로 거래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환율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무엇보다 중국과 일본은 상대국에 통합 상품거래소를 두려 하지 않기 때문에 한국에 기회가 있다.

하지만 통합 상품거래소가 설립되기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가장 큰 문제는 과거사 갈등이다. 금융 거래는 신뢰를 기반으로 작동하는데 한국·중국·일본 사이의 과거사 갈등으로 외교적 긴장이 높아지기라도 한다면 통합 거래소 운영에 심각한 불확실성이 발생할 수 있다. 또 현재 세 나라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는 방식의 차이도 문제이다. 한국과 일본은 자유로운 시장 시스템을 운영하지만 중국 정부는 금융 및 원자재 시장에 대한 개입이 강하다. 통합 상품거래소가 운영된다면 각국 정부의 개입이 어느 정도 허용될 것인가도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우리나라에 위치하는 한·중·일 통합 상품거래소의 상상이 언젠가 현실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져보는 이유는 우리 정부에는 세계 최고 수준의 경제 외교 역량이 있기 때문이다.

매일경제

[김세완 자본시장연구원 원장]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