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말까지 다른 의대들도 복귀율을 예상하기 힘든데, 이럴수록 대학과 정부는 엄정한 대응이 필요하다. 지난 1년간 집단 휴학을 받아주는 등 안이한 태도가 학생들의 오판을 불러 해결이 요원해졌음을 감안하면 이젠 달라져야 한다. 현실적으로도 올해 휴학을 또 받아주면 내년엔 예과 1년이 3개 학년으로 불어나 온전한 교육이 불가능하다.
특히 이날 법원은 의대 교수협의회가 정부의 의대 증원 결정을 취소해달라며 낸 소송을 각하했다. 법원이 2000명 증원 결정에 대해 판단할 실익이 없다며 취소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은 만큼 의대생들도 학업을 내팽개치고 휴학을 이어갈 명분은 더 없어졌다.
이제 대학은 미복귀로 생긴 결원을 편입학 등으로 채워 의료 교육 정상화를 모색해야 한다. 앞서 정부도 편입학 시행을 학교 자율로 보고 문제 삼지 않겠다고 했다. 의대생 집단행동으로 신규 의사 배출이 끊기는 불상사를 막으려면 정부도 편입학 등 대안 마련에 협조해야 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