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보는 세상]
[마닐라(필리핀)=AP/뉴시스]로드리고 두테르테 전 필리핀 대통령. 2024.10.28.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두테르테 전 필리핀 대통령은 '막말' 대장이다. 다바오 시장 시절, 폭도들에게 성폭행 당한 후 살해당한 호주의 여성 선교사에게 "아름다웠다. 시장인 내가 먼저 했어야 했는데", 인권 유린을 걱정하는 버락 오바마 당시 미국 대통령에게 "지옥으로 떨어지라", 프란치스코 교황이 필리핀을 방문해 길이 막히자 "집으로 꺼져라", 히틀러의 유대인 학살을 언급하며 "300만명 마약중독자를 죽이면 기쁠 것"이라고 했다.
막말은 그의 대선 승리에 기여했다. 기득권 정치인과 달리 두테르테는 저잣거리의 언어를 이해한다며 서민적 이미지를 강화했고, 일상에서 치안의 부재와 범죄의 위협에 시달려 온 필리핀 국민들에게는 카타르시스를 부여했다. 그가 마약사범을 즉결 처분하는 등 문명사회에서 상상하기 어려운 '철혈 통치'를 지속하고도 임기 말까지 85~90% 지지율을 누릴 수 있었던 배경이다.
막말은 오래 전부터 두테르테와 같은 포퓰리스트 정치인에게 강력한 무기였다. 한동안 이탈리아 정치를 지배했던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전 총리는 오바마 전 대통령 부부를 향해 "선탠을 제대로 했다"고,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전 대통령은 코로나19 희생자에게 "미안하지만 사람은 언젠가 죽는다. 그게 인생"이라고 조롱했다.
전통 정당과 정치인들은 이런 막말 포퓰리스트의 득세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고, 이들의 실패는 민주주의가 직면한 위기의 핵심이다. 대표적으로 포퓰리스트 정치인의 전형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20년 대선에서 패배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듯했지만, 4년 뒤 재선에 성공했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24년 사회통합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 사회의 갈등도는 4점 만점에 3.04점으로 2018년 첫 조사 이래 가장 높은 수치였다고 한다. 둘로 갈라진 광장의 국민들은 물론 차기 대권을 꿈꾼다는 여러 정치인들도 과거에는 감히 내뱉지 못했던 막말을 뱉어내고 있다. 한국이 필리핀의 실패 사례를 답습하지 않으리라는 확신이 서지 않는다.
변휘 기자 hynews@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