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킬러 문항, 변별력 확보 위해 불가피"
"N수생 늘어도 적정 난이도 유지할 것"
오승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이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26학년도 수능 시행 기본계획 발표'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6학년도 수능은 올해 11월 13일 목요일에 실시하고, 수능 성적은 12월 5일에 수험생에게 통지할 예정이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이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킬러 문항'을 배제하고, 사교육 모의고사와 비슷한 문항이 출제되는 것을 막기로 했다.
오승걸 평가원장은 2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26학년도 수능 시행 기본계획 발표' 브리핑에서 "공교육 범위를 벗어나 사교육으로 훈련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킬러 문항을 출제에서 배제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수능 출제·검토위원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사교육 관련자를 배제하고 인력풀 내에서 무작위 추첨하겠다"며 "(킬러 문항을) 점검하는 현장 교사 중심의 수능출제점검위원회도 운영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브리핑에선 킬러 문항 배제 방침에도 '준킬러 문항'이 여전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오 원장은 "상대평가의 변별력 확보를 위해선 적절한 난이도 구성이 불가피하게 이뤄질 수밖에 없다"고 답했다.
또 킬러 문항 배제 등 사교육비 경감 대책에도 불구하고 고교 사교육비 규모가 역대 최대로 치솟은 데 대해선 "사교육 경감 대책의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시차가 일부 발생한다"며 "사교육 경감 대책이 지속해서 추진된다면 그 효과가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과 학생들이 과학탐구 대신 사회탐구를 선택하는 이른바 '사탐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과 관련해선 "각 대학의 입학 전형에 따라 학생들의 선택이 전략적으로 이뤄진다"며 "수능 출제에서도 그런 부분도 충분히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은서 기자 silver@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