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AI 대중화 총력…"비핵심 계열사 정리 올해도 이어간다·다음 매각 계획 없어"
SKT "AI기술로 돈 버는 공급자 될 것…AI DC·AIX·에이닷 등 AI 에이전트가 핵심 축"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내 주요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이 26일 일제히 주주총회를 마무리한 가운데 업계를 관통하는 화두는 '인공지능(AI)'이었다. 전 세계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이 AI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지만 아직 확실한 시장 지배자가 없는 만큼 기업들은 AI 전략을 가속해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창업자의 복귀로 AI 사업에 힘이 실린 네이버는 온 서비스 AI를, 카카오는 AI 대중화, SK텔레콤은 인프라 및 AI 에이전트를 확장해 수익화에 속도를 내겠다는 전략이다.
네이버는 이해진 창업자가 7년 만에 이사회 의장으로 돌아오며 최수연 대표와 투톱 체제를 구축했다. 지난해 매출 10조 원을 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AI 패권 경쟁에서 뒤처진다는 위기감이 커지자 창업자가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해 AI 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이 창업자의 복귀로 네이버는 창업자의 성공 경험과 연륜이 더해져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카카오는 최근 김범수 창업자 부재와 사법 리스크, 노사 갈등까지 겹치면서 경영 환경이 불안정해졌지만 AI 에이전트 카나나를 비롯한 다양한 서비스를 바탕으로 AI 대중화를 이끌겠다는 전략이다.
정신아 대표는 제주 카카오 본사에서 열린 제30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AI가 선물·이동·금융 등 전 영역의 일상을 바꾸는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서비스를 만들겠다"며 "사용자 맥락을 이해하는 AI는 기술 이해도와 상관없이 AI 대중화를 이뤄내는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카오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AI, 카카오톡 등 핵심 사업 집중을 위해 비핵심 계열사를 정리할 방침이다. 단 콘텐츠 사내독립기업(CIC) 다음 매각 가능성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정 대표는 “현재 다음 매각을 검토하고 있지 않고 더 좋은 회사를 만드는 것이 중점"이라며 "다음이나 다음에 연결된 자회사와 사업 협력을 맺어둘 계획이고 고용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26일 SKT는 서울시 중구 T타워에서 제41회 정기주주총회를 열었다. 유영상 SKT 대표가 주총 직후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
AI 컴퍼니로 전환 중인 SKT는 올해부터 ‘AI 피라미드 2.0’을 가동해 AI 수익화를 실현하겠다는 전략이다.
유영상 SKT 대표는 서울시 중구 T타워에서 열린 제41회 정기주주총회에서 “AI는 공급자 입장에서 접근할 때만 실질적인 수익이 발생한다”며 “사업을 통신과 AI로 단순화하고 올해 'AI 피라미드 2.0' 기반 성과를 시장에 증명하겠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SKT는 AI DC(인공지능데이터센터), AIX(인공지능 전환), 에이닷 세 가지 분야에서 수익을 창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이투데이/김나리 기자 (nari34@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