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대표, "중장기적으로 네이버 전체 서비스에 AI 에이전트 통합할 것"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네이버는 26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네이버 그린팩토리에서 열린 제26기 주주총회에서 최수연 대표의 사내이사 재선임 건과 이해진 창업자의 사내이사 선임 건을 비롯한 모든 상정 안건이 승인됐다.
최 대표는 이날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하며 ‘온서비스 AI’를 기치로 사업과 서비스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겠다"며 "네이버의 AI 기술력과 이용자 중심 서비스 경쟁력을 시장에서 다시 한 번 입증해 제대로 된 가치를 평가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네이버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네이버는 국내 인터넷 플랫폼 최초로 연 매출 10조원을 돌파했다. 네이버는 2024년 연결 기준 영업수익은 전년 대비 11.0% 성장한 10조 7377억원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2.9% 증가한 1조 9794억원을 달성했다. 또한,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96.1% 증가한 1조 9320억원을 기록했다.
그는 지난 임기 동안 AI 기반 서비스 혁신 및 신사업 발굴, 경영 체제 개편을 통해 미래 성장을 위한 토대를 구축하며 견조한 성장을 이끌어왔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최수연 2기는 네이버의 AI 원천 기술과 검색, 광고, 커머스, 콘텐츠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연결하는 ‘온서비스 AI’ 전략을 중심으로 새로운 혁신을 위한 도전을 본격화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는 "AI 에이전트는 우선 네이버 서비스에 적용되어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검증된 성과와 경쟁력을 바탕으로 네이버가 보유한 글로벌 C2C 포트폴리오에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에이전트 쇼핑 솔루션을 단계적으로 테스트하고 그 가능성을 면밀히 검증하여 글로벌 커머스 시장에서의 성공 가능성을 확인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주주총회에서는 네이버의 글로벌 성과가 기대에 못 미친다는 주주들의 불만이 제기됐다. 주주들은 네이버가 중고 명품 플랫폼 포시마크를 1조 8000억원에 인수하고 네이버 웹툰을 미국 나스닥에 상장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상응하는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