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안보라인 전반으로 비판 확대
예멘 공습 계획 채팅방 언론인 초대
‘누출 책임’ 안보보좌관 사퇴론 일자
“심각한 일 아냐… 그는 좋은 사람” 두둔
WSJ “측근들 안보팀 꾸려 혼란 자초”
유럽 동맹국 모욕 발언도 추가 유출
英 가디언 “美정부 유럽 혐오 재확인”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NBC뉴스와 전화 인터뷰에 나서 사건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2개월 사이에 발생한 유일한 흠집”이라며 “심각한 일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 핵심 외교안보라인 인사 18명이 모여 있는 ‘시그널’의 채팅방에 시사주간지 애틀랜틱의 제프리 골드버그 편집장을 초대해 예멘 공습 계획이 사전 누출된 단초를 만든 마이클 왈츠 국가안보보좌관에 대해서는 “마이클은 교훈을 얻었다. 그는 좋은 사람”이라며 일각에서 제기되는 사퇴론을 일축했다. 골드버그 편집장을 초대하는 실수를 저지른 사람이 왈츠 보좌관이 아닌 그의 사무실의 직원이라며 책임을 제3자에서 떠넘기기도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UPI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하루 전 유출 사건이 처음 공론화됐을 때만 해도 트럼프 대통령이 왈츠 보좌관에게 강한 분노를 표출하고 있다는 소식이 알려져 사퇴 전망이 힘을 받았지만 결국 측근을 지키기로 선택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각국 주재 대사 지명자들을 만난 자리에서도 왈츠 보좌관에게 발언 기회를 주며 그에 대한 굳건한 지지와 신뢰를 공개적으로 드러내기도 했다.
이에 대해 왈츠 보좌관은 이날 폭스뉴스에 출연해 “내가 이 그룹(채팅방)을 만들었고 모든 일이 잘 조율되도록 하는 것이 내 일”이라면서 “나에게 전적으로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골드버그 편집장과 일면식도 없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제 그(골드버그)가 고의로 그랬는지, 아니면 다른 기술적 수단을 동원해서 그랬는지를 알아내려 노력 중”이라고 해당 파문이 실수에 의한 것이 아닐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시사주간지 ‘뉴요커’의 중동특파원을 지내는 등 오랫동안 안보분야에서 활약해온 베테랑 기자 골드버그의 불법 취재가 이번 사태로 이어졌다는 의혹 제기다. 그는 골드버그 편집장에 대해 “나는 음모론자는 아니지만, 이 사람은 미국 대통령을 비방하기 위해 온갖 종류의 거짓말과 음모에 가담한 사람”이라고 비난했다.
J D 밴스 미국 부통령. AF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설상가상으로 파문은 외교적 마찰로까지 이어지는 분위기다. 채팅방에서 트럼프 외교안보라인이 나눈 유럽 동맹국에 대한 모욕적인 발언까지 고스란히 공개됐기 때문이다. 해당 대화에서 J D 밴스 부통령은 후티 반군이 위협 중인 수에즈운하가 유럽의 주요 무역루트라는 것을 거론하며 “나는 유럽을 또 구제하는 것이 싫다”고 발언했고,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은 “유럽의 무임승차에 대한 부통령의 혐오에 공감한다. 참 한심하다”고 답했다.
서필웅 기자 seoseo@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