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세종 국토연구원에서 열린 ‘임대차 제도개선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에서 좌장을 맡은 이창무 한양대 교수가 발언하고 있다. 국토연구원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개편 논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임대차 2법은 전세가 상승에 대비한 보험 성격으로 봐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임대차 2법이 주거안정에 부합하는 정책이라는 주장이다.
이승협 중앙대 교수(경영학)는 지난 26일 국토연구원이 개최한 ‘임대차 제도개선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에서 “임대차 2법이 전세가격을 올려 세입자에게 불필요한 추가 비용을 부담하게 한다는 세간의 통념과 달리, 이런 효과는 없었다”며 “임대차 2법은 주거 안정성을 위해 일종의 ‘보험’을 끼고 계약하도록 국가가 의무를 부여하는 제도로 봐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이는 국토연구원과 조세재정연구원의 임대차 2법이 전세가의 변동 폭을 키우고 주택 시장에 혼란을 유발한다며 폐지를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과 다소 배치되는 결론이다.
이 교수는 27일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주택 가격은 절대적으로 금리 영향을 받는데 제도 시행 당시 ‘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던 상황이었다”며 “전세가 급등이 거시경제 특수성 때문에 일어난 것인지 정책의 영향인지 분리해서 따져볼 필요가 있었다”고 연구 배경을 말했다.
이 교수는 이 증가분은 전세가격 변동에 대비한 ‘보험’의 성격이 강했을 뿐, 2년 뒤 전세 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미리 예측해서 집주인이 미리 가격을 올린 결과가 아니라고 했다. 이 교수는 이를 토대로 임대차 2법이 “임차인에게 불필요한 금융 부담을 지운 게 아니다”며 “주거안정성 측면에서 선택 가능한 정책”이라고 했다.
전날 토론회에서는 계약갱신청구권을 임대인과 임차인이 계약 때 자율적으로 정하도록 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이 교수는 이에 대해서는 “주거 안정성이 중요한 임차인이 약자 입장에 서게 돼 현재보다 현저하게 높은 ‘보험 비용’을 부담할 가능성이 있다”며 부정적 의견을 냈다.
최미랑 기자 rang@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