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근로자 절반이 50세 이상
임금·복지 등 불만 청년층 기피 현상
50대 이하도 외국인뿐… 구인난 심화
정부 인력매칭 프로그램에도 역부족
업계, 유학생 취업 비자 허용 등 목청
“젊은 해외인력 활용 정책 개선 필요”
27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대구에 있는 섬유공장을 운영 중인 박모(62·여)씨가 전한 이야기다.
현재 박씨 공장 직원은 총 11명인데 이 중 50대 이하는 4명뿐이며 그마저도 모두 외국인이다. 문화 차이와 의사소통 문제로 한국인을 선호하긴 하지만 매번 공고를 올려도 전화 한 통 없어 몇 년 전부터는 공고 대신 주변 추천으로 인원을 충원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박씨는 “대구 내 공장들은 고령자하고 불법체류자 없으면 안 돌아간다”며 “불법인 거는 알지만 공장 문을 닫을 수는 없지 않냐”고 푸념했다.
지난해 초고령화 사회(인구 중 65세 이상이 20%)에 돌입한 것과 더불어 청년 세대의 중소기업 기피 현상이 중소기업 고령화의 원인으로 꼽힌다. 청년 수가 쪼그라드는 가운데 이들 모두 임금 및 복지 수준이 월등히 높은 대기업에 목을 매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경영자총협회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300인 이상 사업체(7121만원)와 300인 미만 사업체(4427만원) 간 평균 연봉 차이는 2700만원에 육박한다.
이에 정부는 △인도 소프트웨어 인력 매칭 사업 △외국인 유학생 취업박람회 △K수출전사 아카데미 △글로벌 인재 취업 선도대학 등 중소기업 대상 다양한 형태의 인력 매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중소기업의 인력 갈증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란 평가다.
이처럼 중소기업 구인난이 갈수록 심화하자 외국인 인력이라도 쓸 수 있도록 취업 비자 허들을 낮춰달라는 중소기업계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현 제도상 유학(D-2)이나 구직(D-10) 비자에서 전환이 안 되는 E-9 비자를 유학생에게도 허용해달라는 요청이 이목을 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외국인 유학생들도 한국 취업에 긍정적이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최근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외국인 유학생의 86.5%가 졸업 후 한국에서 취업을 희망한다고 답했다. 아울러 전체 유학생의 절반 이상인 58.8%가 E-9 비자를 취득해 중소기업 생산직 등 현장에서 일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비자만 허용되면 지방 중소기업들의 인력난이 완화될 가능성이 큰 셈이다.
채명준 기자 MIJustic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