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현금 없는 시내버스’ 전면 시행
27일 시에 따르면 교통카드 이용 확대로 시내버스 현금 탑승객은 꾸준히 줄고 있다. 하지만 현금수입 관리 비용은 연간 평균 8억2000여만원이 쓰인다. 또 버스 기사들의 거스름돈 환전 과정에 운행 시간이 지연되고 안전사고 우려 등의 문제도 적지 않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시는 지난해 7월부터 현금 없는 시내버스를 시범 운행했다. 1차 5개 노선 98대, 2차 40개 노선 583대, 3차 77개 노선 1034대 등 3차에 걸쳐 시범 운영한 결과 대구 전체 시내버스 이용객의 현금 승차 비율이 2022년 2.8%, 2023년 2.2%, 올해 들어 3월까지는 0.5%로 꾸준히 감소했다. 시범 운행 기간 특별한 민원도 발생하지 않았다.
시는 다음 달 1일부터는 대구 전체 127개 노선, 1566대를 현금 없는 시내버스로 운영한다. 시 관계자는 “현금 관리 비용을 줄이고, 운행 시간 단축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허준석 시 교통국장은 “현금 없는 시내버스 전면 시행 이후에도 운영 현황과 불편 사항에 대해 계속 모니터링해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인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