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위기가구 발굴 프로젝트 추진
2025년 224억 투입… 36개 사업 시행
27일 원주시에 따르면 이날 기준 원주지역 1인 가구는 7만3994가구로 전체 가구의 42.5%에 달한다. 전국 평균(34.5%)을 웃도는 수치로, 원주시민 2명 중 1명은 혼자 살고 있는 셈이다. 기초생활수급권자와 노인 인구도 증가세다. 5년 전과 비교하면 수급권자는 9.5%, 노인은 22.8% 늘었다. 단전·단수가구와 건강보험·국민연금 등을 체납한 이들도 매년 증가해 최근 6만가구를 돌파했다.
시는 사회구조가 급격하게 변화함에 따라 위기 가구가 늘고 있는 것으로 보고 대책마련에 나섰다. 우선 올해 224억원을 투입해 5개 추진과제 36개 세부사업을 시행한다. 위기 가구 조기 발굴, 고립 해소를 위한 관계망 형성, 맞춤형 통합지원 등이 골자다.
우선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기반으로 전기 사용량 데이터를 분석하고 사용량이 급격하게 늘거나 줄었을 때 안부를 묻는 사업을 시범 추진한다. 인공지능(AI)이 독거노인이나 장애인에게 전화를 걸어 안부를 묻는 ‘AI 안부확인서비스’도 곧 도입할 예정이다.
원강수 시장은 “이웃 간 인사를 나누면서 서로 관심을 갖고 보살필 수 있는 관계가 형성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