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세, 전세 감소하고 월세·자가 거주 비율 증가
전세 사기 우려 및 강화된 대출 규제 영향
높아지는 대출 문턱, "핀셋 규제 완화해야"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0대 초반의 전세 세입자 비율이 줄고 월세와 자가 거주 비율이 증가하는 등 주거 양극화가 뚜렷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세 사기 우려가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강도 대출 규제까지 겹친 가운데 서민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아파트 공급 대책이나 정책자금 대출 등 핀셋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이 발표한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공통된 특성을 가진 사람들 집단)별 비교 연구’에 따르면 31~35세(이하 30대 초반) 연령대에서 전세 거주 비율은 계속 하락했다. 반면 월세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자가 거주 비율도 일부 상승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30대 초반 연령대 가구원 중 월세 형태 비율은 점차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1970~1974년생이 30대 초반이던 때엔 월세 거주 비율이 17.3%였다.
자가 거주 비율도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30대 초반 자가 거주 비율은 1970~1974년생이 48.1%, 1975~1979년생이 46.6%, 1980~1984년생이 51.1%, 1985~1989년생이 49.0%였다. 약간의 등락은 있지만 최근에 가까울수록 자가 거주 비율이 높아지는 추세라는 게 보고서의 분석이다.
최근 서울 연립·다세대주택 시장에서 나타나는 '전세의 월세화' 현상도 이를 뒷받침한다. 부동산플래닛에 따르면 전세 거래는 6만2657건으로 전년(7만1566건) 대비 12.4% 줄어든 반면, 월세 거래는 같은 기간 6만6414건에서 7만4658건으로 12.4% 늘었다. 이에 전세 거래는 3년째 감소세를, 월세 거래는 6년째 증가세를 기록하게 됐다.
업계는 전세 수요가 감소한 원인으로 최근까지 이어진 전세 사기에 대한 우려와 강화된 대출 규제를 꼽는다. 국토교통부 전세사기피해지원위원회에 따르면 ‘전세사기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된 지난 2023년 6월부터 이달 12일까지 집계된 피해자 수는 2만8087명에 달한다. 올해(1월~3월 12일) 피해자로 결정된 사례는 총 2509건에 달한다.
정수민 부동산플래닛 대표는 “초기 보증금 부담과 전세사기 우려, 보증금 회수에 대한 불안이 전세의 월세화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주거 양극화를 개선하기 위해 무주택자를 위한 핀셋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김제경 투미부동산컨설팅 소장은 "전세 대출 규제영향으로 서민층이 월세로 내몰리게 되면 주거 비용이 증가해 부담이 더 커지게 된다"며 "아파트 공급 안정화를 위한 정비 사업 관련 규제 완화와 함께 정책자금 대출이나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에 대한 핀셋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주경제=한승구 기자 win9@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