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서울 송파구 한 부동산 중개업소 앞으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고위험가구는 2024년 기준 38만6000가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금융부채 가구의 3.2% 수준이다. 고위험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는 72조3000억원 규모다.
고위험가구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과 ‘자산대비부채비율(DTA)’이 각각 40%와 100%를 넘는 가구를 뜻한다. 갚아야 하는 원리금이 소득의 40%를 넘고, 자산을 다 팔아도 빚을 못 갚는 이들이 40만 가구에 육박한다는 의미다.
지난해 고위험가구 비율은 2023년(3.5%)에 비해 하락했지만 2022년(2.6%)에 비해선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2017년부터 2024년까지 장기 평균인 3.1%와 비교해도 높은 편이다.
비수도권 고위험가구의 중윗값 기준 DSR과 DTA는 각각 70.9%, 149.7%로 수도권(78.3%, 151.8%)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다만 비수도권의 고위험가구는 60세 이상 고령층 가구주 비중이 18.5%로 수도권(5.1%)보다 높았다.
한은은 “지방의 경제성장이 수도권에 비해 부진한 가운데 최근 지방 주택가격의 하락세 등을 감안할 때 지방 고위험가구의 채무상환 부담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