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3일 자동차, 5월 3일 부품 관세 부과
美 현지투자 유도…한국GM 철수 우려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공식화한 27일 경기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의 자동차 관세 폭탄이 현실화되면서 우리나라 대(對)미 수출에 적신호가 켜졌다. 수출 효자 품목 중 하나인 자동차에 고관세가 매겨지면서 전체 수출은 물론 국가 경제성장률마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미국으로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다음 달 3일부터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자동차 부품에 대해서도 5월 3일 이전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미국의 이 같은 조치는 제조업 고용 창출 효과가 큰 자동차 산업 특성을 고려해 현지 생산을 확대하거나 미국에 대한 투자를 늘리도록 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번 관세 조치로 한국산 자동차의 미국 수출 규모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관세 조치가 시행되면 미국에서 판매하는 한국산 자동차에는 최소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의 가격 인상 요인이 발생한다. 미국산 자동차와 비교할 때 가격 경쟁력에서 뒤처질 가능성이 높다.
산업연구원은 미국의 자동차 관세 적용에 따라 최대 13.6%까지 수출 감소가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에 따르면 자동차 총 수출은 최소 3조3300억원에서 최대 5조8900억원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산업연 관계자는 "자동차는 경쟁국 관세 수준이 낮을수록 우리나라에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며 "관세 인상 리스크에 더해 교역조건이 불리해지는 경우 기업의 생산기지 해외 이전이 가속화될 수 있어 대응 노력이 요구된다"고 경고했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도 보고서를 통해 미국이 자동차 관세 25% 부과를 시행하면 우리나라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전년보다 18.59%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기에 미국이 무역 상대국의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을 고려해 국가별로 부과하는 상호관세까지 부과될 경우 대미 자동차 수출은 더 타격을 받게 된다.
이 자리에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미 정부의 관세 부과로 우리 자동차 기업들의 대미 수출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에 정부는 업계와 긴밀히 공조해 대응 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며 "관계 부처와 함께 자동차 산업 비상대책을 4월 중 마련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주경제=김유진 기자 ujeans@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