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2분기 이후 출시 예정…'플레오스 커넥트'의 중추
[사진=현대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대자동차그룹이 차량용 앱 마켓을 내년 선보인다. 소프트웨어중심자동차(SDV) 전략의 일환으로, 차량에 걸맞은 다양한 앱 출시를 유도해 관련 생태계를 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현대차그룹은 28일 서울 코엑스에서 국내외 개발자들을 초청해 개발자 콘퍼런스 '플레오스(Pleos) 25'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현대차는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개발 현황과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기반 앱 생태계 조성 방안 등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의 기조연설자로 나선 송창현 현대차·기아 AVP본부장(사장)은 '플레오스 커넥트(Pleos Connect)'를 공개했다. 기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인 ccNC의 뒤를 잇는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모바일과 차량 간 연결성을 강화해 사용자가 익숙한 앱과 콘텐츠를 차량에서도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송창현 사장은 "자동차는 또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돼야 하며 그런 맥락에서 차량 역시 모바일 생태계 속으로 편입되는 전략을 수립했다"며 "이를 위해 스마트폰과 가장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고,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던 앱들을 차량에서 원활하게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완성차 업체가 앱 마켓을 출시하는 것이 최초는 아니다. 중국 니오, 독일 폭스바겐 등이 자체 앱 마켓을 자사 브랜드 차종에 탑재한 바 있다. 다만 현대차는 앱 마켓을 통한 차량용 앱 생태계 조성을 SDV 전략 가속화의 핵심 전략으로 택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만일 현대차가 해당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낸다면, 모바일 앱 마켓 시장의 강자인 구글·애플만큼이나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전망이다.
[사진=현대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앱 마켓이 출시되면 개발자들은 직접 앱을 등록할 수 있다. 앱은 현대자동차그룹의 심사를 거쳐 마켓 배포가 가능하다.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에서 앱을 설치하듯 앱 마켓에서 자유롭게 차량용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개발자는 자동차 개발에 참여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필요를 해결하는 앱을 개발해 앱 마켓이라는 직배급 채널을 통해 빠르게 시장에 진입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며 "사용자는 차량 구매 시 제공된 기능 외에도 다양한 앱과 서비스를 개발자에게 직접 공급받는 경험을 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현대차는 이에 맞춰 이날 콘퍼런스에서 새로운 차량용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인 '플레오스 플레이그라운드'를 이날 공개했다. 이를 토대로 모바일 앱 개발자 누구나 손쉽게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개방형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목표다.
아주경제=윤선훈 기자 chakrell@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