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운드테이블' 통해 업계·전문가와 소통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13동 산업통상자원부. 2023.10.1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방적 보호무역조치가 확대되고 과잉공급으로 통상질서가 변화하는 가운데 이에 대한 대응방향을 점검하기 위해 정부와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다.
2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통상현안 간담회를 열고 △글로벌 통상질서 변화 동향·전망 △유럽연합(EU) 통상정책 변화 방향·대응방안 △신통상라운드테이블 확대 개편방향 등 현안에 대해 심층 논의했다.
간담회에서 발제를 맡은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과거 거대 신흥경제권의 비시장적 정부주도 성장정책이 경기 하강기에 과잉공급을 근거로 선진국들이 보호무역 조치를 확대하는 구실과 계기를 제공했다고 봤다.
한편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최근 발표된 'EU 옴니버스 패키지' 등을 포함한 EU의 통상정책 변화에 대해 발표했다. 해당 패키지에는 지속가능성보고지침, 공급망실사지침, 탄소국경조정제도 개정 등 기업부담완화·투자촉진 정책이 포함됐다.
산업부는 2021년부터 공급망·디지털·기후 등 신통상 이슈를 주제로 14차례 개최된 '신통상라운드테이블'을 2025년도에도 이어 나감으로써 전문가·업계와 소통하고 통상 현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갈 계획이다.
아주경제=김유진 기자 ujeans@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