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발생 위험 1.9배 높아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국립교통재활병원 연구소) 이자호 교수·최윤정 연구교수팀은 전국 50세 미만 외상성 뇌손상 환자와 일반인 대조군 총 104만명의 뇌졸중 발생 위험을 7년 이상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28일 밝혔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외상성 뇌손상은 교통사고와 낙상 등 외부 충격으로 인해 뇌에 발생하는 손상이다. 비교적 경미한 뇌진탕부터 심한 경우 뇌부종, 지속적 혼수, 뇌출혈, 두개골 골절 등을 포함한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청장년층의 대표적인 사망 원인이자 뇌졸중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이다.
연구팀이 뇌졸중을 뇌경색, 뇌출혈, 지주막하출혈로 구분해 발생 위험을 비교한 결과 1000인년(인구 1000명을 1년간 관찰했을 때 뇌졸중이 발생할 확률)당 전체 뇌졸중 발생률은 환자군과 대조군이 각각 3.82%, 1.61%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외상성 뇌손상을 경험한 환자군은 대조군보다 전체 뇌졸중 발생 위험이 1.89배 높았다. 유형별로 뇌출혈이 2.63배로 가장 높았고, 지주막하출혈 및 뇌경색은 각각 1.94배, 1.60배였다. 이는 외상성 뇌손상 후 1년 이상이 지나도 지속됐다. 연구팀이 외상성 뇌손상 발생 후 1년이 지난 환자만 분석한 결과, 전체 뇌졸중 위험이 대조군 대비 1.09배 높았고, 특히 뇌출혈 위험이 1.2배 높았다.
서울대병원 이자호 교수(왼쪽부터), 정성훈 연구교수, 순천향대병원 천성민 교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자호 교수는 “50세 미만 청장년층이라도 외상성 뇌손상을 경험했다면 정기 검진을 통해 혈당·콜레스테롤 등을 관리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하는 등 일찍부터 뇌졸중 예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특히 젊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는 자신의 뇌졸중 위험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어, 이들을 대상으로 뇌졸중 예방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진수 기자 je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