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 징세비 추이[자료=국세청]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국세 징수에 소요된 비용이 1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세금 100원을 징수할 때 0.59원이 징세비로 사용된 셈이다.
국세청은 28일 소관 세수와 체납 현황, 납세유예 실적 등 39개 징수분야 국세통계를 국세통계포털에 공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국세청 소관 세수는 328조4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1%(7조3000억원) 감소했다. 세목별 세수는 소득세가 117조4000억원(35.8%)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부가가치세 82조2000억원(25.0%), 법인세 62조5000억원(19.0%), 상속·증여세 15조3000억원(4.7%) 순이었다.
국세청 직원 1인당 걷어들인 세수는 160억원으로 2010년(90억원) 대비 79.1%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국세 정리중 체납액은 19조4000억원, 체납액 현금정리 금액은 12조1000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17조7000억원, 11조7000억원이 증가했다. 국세 정리중 체납액은 부가가치세가 8조4000억원(43.5%)으로 비중이 가장 컸으며 소득세 4조원(20.8%), 법인세 2조1000억원(11.0%) 순이었다.
세목·업종별 체납액은 부가세의 경우 건설업(2조2000억원), 제조업(1조7000억원), 도매업(8000억원) 순으로 많았고 법인세는 부동산매매업(5000억원), 건설업(4000억원), 제조업(200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재산 은닉 혐의가 있는 고액·상습체납자로부터 징수·압류한 금액을 뜻하는 재산추적조사 실적은 2조8000억원이었다. 이와 관련한 민사소송 등 소제기 건수는 1084건으로 전년(1058건) 대비 소폭 늘었다.
지난해 재난·재해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영세사업자를 중심으로 실시한 납부기한 연장 등 납세유예 실적은 128만1000건, 16조5000억원으로 직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아주경제=박기락 기자 kirock@ajunews.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