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CFO 60% 하반기·15% 내년 "경기침체 올 것"
트럼프 취임후 달러 3% 하락…美대선후 상승분 반납
닛케이 "유로화 강세 지속되면 수입물가 상승 불가피"
내년 중간선거 시험대…물가·경기·증시가 최대 난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CNBC가 지난 10~21일 글로벌 기업 최고재무책임자(CFO)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0%가 올해 하반기 경기침체가 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응답자의 15%는 내년 안에 경기가 후퇴할 것으로 예측했다. 응답자들은 최대 외부 위험 요인으로 무역 정책(30%), 인플레이션(25%), 소비자 수요(20%)를 꼽았으며, 90%가 고(高)인플레이션이 재발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6일(현지시간)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 추가 관세를 공식화했으며, 다음달 2일 보다 광범위한 상호관세 발표를 예고한 상태다.
미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의 스티븐 미란 위원장은 2018~2019년 트럼프 집권 1기 당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끌어올렸을 때 위안화 가치가 달러화 대비 13.7% 하락해 수입품 가격 상승분의 4분의 3을 상쇄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에도 같은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달러화 가치가 오른 만큼 수입품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을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닛케이는 현실은 다르다고 지적했다.
국제결제은행(BIS) 실효환율 지표에 따르면 달러화 가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지난 1월 20일 이후 3% 하락, 지난해 11월 미 대통령 선거 이후의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다.
베센트 장관은 ‘조정’에 불과하다는 입장이지만, 유로화 강세에 따른 ‘반사작용’으로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닛케이는 지적했다. 유럽연합(EU)과 독일 정부의 대규모 국방비 지출에 대한 기대로 유로화는 지난 20여일 동안 2.9% 상승했다. 달러화 하락폭과 거의 같은 수준이다.
앞서 미란 위원장은 지난해 11월 논문을 통해 플라자 합의와 유사한 방식으로 각국이 달러화 강세를 조정하는 ‘마러라고 합의’ 구상을 제안한 바 있다.
미란 위원장은 또한 논문에서 “관세 인상이 경기침체와 금리하락을 초래하더라도 트럼프 정부가 규제완화 등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도 했다. 하지만 CNBC 설문조사에서 글로벌 기업 CFO의 70% 이상이 경기침체를 우려한다고 답한 것을 보면 전혀 동의를 얻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래리 서머스 전 재무장관은 지난 23일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미국 중서부의 열연 코일 가격이 30% 이상 상승해 신차 가격에 수백달러가 추가됐다. 현재 트럼프 정부의 정책은 경제학 입문서의 모든 것과 모순된다”고 비판했다.
그는 “25% 추가 관세가 부과된 철강 등 원자재가 상승이 최종 제품에 반영되기까지 시간차가 있다”면서도 “사람들이 (중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 진행을 예상하기 시작하면, 그것이 현실이 되는 경우가 많다”고 경계했다.
닛케이는 “내년 중간 선거를 앞두고 증시 급락, 물가 상승, 경기 악화 회피가 최우선 과제가 될 것”이라며 “경제와 물가, 시장의 움직임이 트럼프 정권의 시나리오에서 얼마나 벗어나는지에 따라 실무진들의 대응력과 유연성이 시험대에 오를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