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급 속도 확산에 최악피해…밤새 내린 비가 산불 진화 결정적 역할
이재민 대책·산림복구 시급한 과제…기후 변화에 맞게 '진화대책 대전환' 필요
산불 피해를 입고 폐허가 된 영덕군 지품면 수암리 마을 현장. [사진=최주호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북 의성에서 지난 22일 발화한 산불이 태풍급 속도로 경북 북동부권 4개 시·군으로 확산하며 발화 149시간 만에 진화됐다.
이번 산불로 축구장 6만3245개, 여의도 156개 면적의 국토가 잿더미로 변하면서 역대 최대 피해를 만들었다.
각 지자체 등에 따르면 28일 오후 영덕, 영양을 시작으로 피해 5개 시·군의 산불 주불이 순차적으로 진화했다.
지난 22일 오전 11시 25분께 의성군 안평면·안계면 2곳 야산에서 시작된 산불은 이후 초속 10m가 넘는 강풍을 타고 북동부권 4개 시·군으로 번졌다.
지난 25일 발생한 안동시 길안면 산불 장면. [사진=경상북도소방본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몸집을 불린 '괴물 산불'은 한때 초속 27m의 강풍을 타고 역대 최고치인 시간 당 8.2㎞ 속도로 이동했다.
하지만 강풍과 극도로 건조한 날씨 등이 맞물려 형성된 불리한 진화 여건 속에 현장 진화 대원 피로 누적, 진화 헬기 추락 사고 등 문제도 발생해 대부분 지역에서 불을 끄는 작업은 더디게 이뤄졌다.
이런 까닭에 산불 확산 경로를 따라 인명·재산 피해가 속출했고, 세계문화유산인 안동 하회마을과 병산서원 2~3㎞ 앞까지 불길이 근접하는 아찔한 상황도 연출됐다.
하지만 27일 오후부터 의성·안동·청송·영양·영덕 5개 시·군에 1~3㎜가량 비가 내리면서 상황은 1주일 만에 극적으로 반전했다.
이런 까닭에 전날 오후 5시 기준 63%에 머물렀던 진화율은 이날 낮 12시 기준 94%까지 치솟았다.
지난 26일 발생한 영양군 산불 현장. [사진=경상북도소방본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주일째 이어진 이번 경북 산불에 따른 산불영향구역은 이날 오전까지 4만5157㏊로 집계돼 역대 최대 산불 피해를 냈다.
향후 조사 결과에 따라 산불 피해 범위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이날 오전 기준으로 실내체육관 등으로 대피한 의성, 안동 등지 주민은 6322명으로 집계됐다.
산불은 진화됐지만 이재민 대책, 산림 및 문화재 복구 등이 앞으로의 산적한 과제로 남아있다.
이번 산불은 역대 최대 규모의 산림 피해와 함께 경북 북동부권 주민들의 삶을 황폐하게 만들었다.
아주경제=안동=최주호 기자 cjh@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