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제2도시 만달레이 아수라장…사망자 집계 안돼
방콕선 건설중인 빌딩 무너져 최소 3명 숨지고 90명 실종
X(@clashreport) 갈무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8일 오후 동남아시아 미얀마 중부 내륙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해 대규모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이번 지진으로 미얀마에서만 지금까지 144명이 숨지고 732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미얀마 군정이 파악하고 있다고 중국 CCTV는 보도했다. 진앙지에서 가까운 미얀마 제2도시 만달레이로 진입하는 진입로가 끊긴 것으로 알려져 있어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은 희생자 규모가 훨씬 더 클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 강진으로 인접 국가인 태국 방콕에서도 건설 중이던 고층 건물이 무너져 최소 3명이 사망하고 90명이 실종된 것으로 파악됐다. 온라인에서는 건물이 붕괴하면서 주변에 있던 근로자들이 비명과 함께 대피하는 등 아비규환인 현장을 담은 영상들이 확산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28일 낮 12시 50분경 미얀마 북서부 사가잉에서 북쪽으로 약 16km 떨어진 지점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진원 깊이는 10km로 파악됐다.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도 이번 강진의 규모를 7.7, 진원 깊이를 10km로 관측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로이터통신은 목격자 3명을 인용해 이번 강진으로 미얀마 제2의 도시인 만달레이에서 건물 여러 채가 무너졌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한 목격자는 이슬람교 사원(모스크)에서 기도하다가 진동을 느꼈다며 “우리 모두 모스크에서 뛰쳐나갔다”고 말했다. 또 다른 목격자는 거리에 있는 찻집이 무너져 사람들이 갇혔다며 “상황이 매우 좋지 않다”고 전했다.
AP/뉴시스 2025.03.28.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서도 만달레이에 있는 건물 여러 채가 무너져 내린 현장을 담은 영상과 사진이 확산했다. 영상을 보면 옆으로 무너진 건물에 의해 인접한 다른 건물도 부서진 상태였다. 천장 마감재가 떨어지는 등 만달레이 국제공항 내부가 아수라장으로 변한 사진도 있었다.
현재까지 인명피해와 관련해 정확한 집계는 발표되지 않았다. 다만 로이터통신, 영국 가디언 등은 목격자를 인용해 단편적인 사망자 속보를 전하고 있다.
AFP통신은 네피도의 한 종합병원 관계자를 인용해 부상자들이 1000개의 병상 규모의 종합병원 응급실 밖에서 줄을 서 치료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방콕=AP/뉴시스] 28일(현지 시간) 태국 방콕에서 건설 중이던 건물이 지진으로 무너져 구조대가 현장을 수색하고 있다. 이날 오후 미얀마 중부 만달레이 지역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해 태국 방콕에서 건설 중이던 30층 높이의 건물이 무너지면서 최소 43명이 매몰된 것으로 알려졌다. 2025.03.28.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번 미얀마 강진은 인접 국가인 태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수도인 방콕에서는 건설 중이던 고층 건물이 무너지면서 최소 3명이 사망하고 90명이 실종된 것으로 태국 현지당국은 보고 있다.
소셜미디어에서 확산 중인 영상엔 건물이 거대한 먼지구름과 함께 무너지면서 근로자 여러 명이 비명과 함께 대피하는 장면이 고스란히 담겼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X(@vibeofswetha) 갈무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다른 고층 건물에서는 지진의 영향으로 수영장 물이 폭포수처럼 떨어졌다. 방콕 지상철 BTS가 크게 흔들리는 영상도 소셜미디어에서 확산하고 있다.
[방콕(태국)=AP/뉴시스]28일 이웃 미얀마에서 발생한 규모 7,7의 지진 영향으로 태국 방콕에서도 건물들이 크게 흔들리자 놀란 시민들이 건물 밖으로 대피해 있다. 태국 수도 방콕에서 이웃 미얀마에서 발생한 규모 7.7 지진의 영향으로 신축 중이던 고층 건물이 무너졌다고 태국 경찰이 28일 밝혔다. 2025.03.28.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얀마 군사정권과 태국 패통탄 친나왓 총리는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정봉오 기자 bong087@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