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리포트-알뜰폰 대해부] ① 이통3사 자회사 포진 속 중소·중견업체 약진
2024년 12월 기준 알뜰폰 사업자 유형별 가입자 비중/그래픽=윤선정 |
중소·중견 알뜰폰 가입자가 이통3사 자회사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성장했다. 1000만 시장을 대기업과 중소·중견 알뜰폰이 양분하는 모양새다. 알뜰폰 시장에서 이통3사 자회사의 독주가 이어지자 선불폰 판매를 금지하고 도매대가 인하·전파사용료 감면 등으로 중소·중견 알뜰폰을 적극 육성한 결과다. 중소·중견 알뜰폰의 양적 확대를 일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부터 본격 질적 제고에 나선다.
29일 머니투데이가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과기정통부로부터 받은 '2024년 알뜰폰 사업자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알뜰폰 가입자는 총 949만명이다. 이중 △이통3사 자회사(5개)가 47.9% △대기업·금융권(2개)이 4.8% △독립계(중소·중견, 47개)가 47.3%를 차지했다.
머니투데이가 가입자수 기준으로 상위 10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이통3사 자회사가 포진했다. 사업자별 가입자수가 구체적으로 공개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KT엠모바일은 170만명으로 여전히 압도적 1위를 유지했고, 미디어로그(104만명), SK텔링크(78만명), LG헬로비전(75만명)이 그 뒤를 이었다. KT스카이라이프는 42만명으로 8위다.
대기업·금융권 계열에선 KB국민은행이 이름을 올렸다. 2020년 9만명에 불과했던 KB국민은행 가입자는 지난해 43만명까지 늘었다. 에스원은 삼성 계열이지만 가입자(81만명)의 90% 이상(약 75만명)이 IoT(사물인터넷) 회선이라 순위에서 제외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핀테크 업체인 토스는 비금융권, 태광계열인 한국케이블텔레콤은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속하지 않아 중견기업에 속한다.
중소 독립계 알뜰폰 사업자 중에선 유니컴즈(47만명), 프리텔레콤(34만명), 큰사람커넥트(29만명)가 상위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
이통3사 자회사 '안정적 품질'…'가성비'는 중소 독립계
━
2024년 12월 기준 알뜰폰 사업자별 가입자 수 Top20/그래픽=윤선정 |
이통3사 자회사 5개의 점유율은 여전히 압도적이다. 브랜드 파워를 바탕으로 한 안정적인 품질이 가입자를 이끄는 요인이다. 중소·중견 알뜰폰도 이통사 망을 빌려 써 품질 자체는 동일하나, 트래픽이 몰릴 땐 이통사 자회사에 망이 우선 배정된다. 이통사 AS 센터를 이용할 수 있고, 5G 요금제가 다양한 것도 장점이다.
중소알뜰폰 상품은 가장 저렴한 요금제를 찾는 이용자들에게 제격이다. 월 1000원대 초저가 요금제부터 월 1만원 이하의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판매한다.
━
대포폰·종교폰 오명…중소 알뜰폰 체질개선 본격화
━
2021~2022년 이통3사 자회사가 시장 절반 이상(50.7%)을 차지했던 점을 고려하면 중소·중견 알뜰폰의 약진은 고무적이다.
다만 군소업체 난립으로 부작용이 잇따른다. 진입장벽이 낮아 '전광훈알뜰폰'(퍼스트모바일)처럼 특정 집단의 수익사업으로 전락하거나, 대포폰으로 활용됐다. 부실한 고객상담 서비스에 소비자 불만도 높다.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사업자일수록 이통사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RS(이통사 상품을 재판매하고 수익 공유) 쏠림' 현상이 나타나 결국 이통3사에 종속됐다. 게다가 오는 30일 도매대가 사전규제가 사라지면서 원가 상승으로 중소 알뜰폰의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과기정통부는 알뜰폰 체질개선에 시동을 건다. 알뜰폰 시장이 변곡점을 맞은 셈이다. 자본금 기준을 상향(3억원→10억원)하는 등 진입장벽을 높이고 기존 사업자에 정보보안 의무를 강화한다. 이통3사의 대리점 격인 RS가 아니라, 알뜰폰업체가 요금을 자체 설계하는 RM(데이터 사용량만큼 이통사에 비용 지불) 방식의 도매대가를 최대 52% 낮춰 자생력을 높인다는 목표다.
윤지혜 기자 yoonjie@mt.co.kr 김승한 기자 winon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