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구글, AI검색 요약 도입…신조어·영화 줄거리 설명 '척척'
다수 키워드 요약 정보 제공 안돼…부정확한 정보도 과제
AI 검색 경쟁 가열…검색시장 '구글' 독점 깨나(CG) |
(서울=연합뉴스) 김현수 기자 = "젊은 세대 사이에서는 '칠(chill) 하다'가 단순한 의미를 넘어 힙하고 감성적인 라이프스타일을 표현하는 밈으로도 활용됩니다."
은은한 눈빛과 시크한 입모양으로 소셜미디어(SNS)에서 화제가 된 인기 밈(인터넷 유행 콘텐츠) 캐릭터 '칠가이'(chill guy).
'칠가이'에서 유래한 신조어 '칠(chill) 하다'의 뜻을 네이버 검색창에 입력하자 인공지능(AI)이 단어의 사전적 의미뿐 아니라 이 유행어가 만들어진 문화적 배경 등을 상세히 요약했다.
네이버 AI 기반 검색 기술을 활용해 검색어에 적합한 주제의 문서를 발췌하거나 요약하는 게 주요 기능이다.
아직 실험 단계인 AI 브리핑은 일부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게 네이버 측 설명이다. 이에 따라 요약 정보 하단에는 원본 정보가 담긴 출처를 링크로 제공한다.
네이버 AI 브리핑 |
'미키17', '폭싹 속았수다' 등 최신 콘텐츠 줄거리를 검색하자 작품의 주제, 연출 목적 등을 상세히 설명하는 게 인상적이었다.
다만, 이러한 일부 검색어 외에는 아직 대부분의 검색어에 요약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점은 아쉬웠다.
검색창 상단에 광고가 먼저 나와 AI 요약 내용은 페이지 중반부로 밀려나기도 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사용자들이 많이 검색하는 질의나 추가 탐색이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질의어 중심으로 AI 브리핑을 도입했다"며 "AI 브리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옵션도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AI 쇼핑 가이드' |
한편, 검색 기능 외에도 지난 12일 출시된 AI 쇼핑앱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에도 AI 브리핑 기술이 적용된 'AI 쇼핑 가이드'가 제공된다.
각각의 탭을 누르면 구체적인 설명과 함께 특징에 맞는 제품들이 나열돼 목적에 맞는 제품을 찾을 수 있다.
네이버에 앞서 구글도 지난해 12월부터 자사의 생성형 AI 제미나이를 탑재한 검색 기능인 'AI 오버뷰'(AI 개요)를 국내에 제공하기 시작했다.
구글 AI 개요는 요약 정보가 상단에 바로 노출되고, 내용이 훨씬 집약돼 네이버의 AI 브리핑 서비스보다 한 눈에 들어오는 장점이 있다.
네이버 주주총회가 열리기 하루 전인 지난 25일, 구글 검색창에 '네이버 최수연 대표 연임'이라고 입력하자 AI는 '최수연 대표는 2025년 3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연임에 성공했습니다'라는 요약 정보를 제공했다.
실제 최 대표가 연임에 성공한 것은 26일이다.
답변을 제공하기 위해 AI가 분석한 기사·게시글 등에서 대부분 최 대표의 연임 가능성을 높게 전망한 터라 시기에 맞지 않는 답변을 내놓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네이버와 구글은 앞으로 AI 검색 요약 기능을 고도화할 방침이다.
구글 AI 개요 기능 |
hyunsu@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