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 이동읍 행정복지센터에서 열린 주민 대상 소통 간담회(사진=용인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용인=국제뉴스) 강정훈 기자 = 용인시(시장 이상일)는 반도체 특화 신도시로 조성하는 '용인이동공공주택지구'의 신속한 추진을 위해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전달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동·남사읍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의 첫 번째 팹(Fab)이 가동될 2030년에 맞춰 이곳 신도시의 입주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시는 지난 18일 이동읍 행정복지센터에서 LH와 함께 지역 주민 대상 소통 간담회(7차)를 열어 지난 1월 24일 용인이동공공주택지구 지정에 따른 지구계획승인과 보상계획공고 등 향후 추진 일정을 설명하고 주민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간담회에는 공공주택지구 편입 대상지의 주민대책위원장과 이장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시는 간담회 내용을 포함한 주민의견을 종합해 지난 21일 LH에 전달했다.
주민대표들은 효율적인 토지이용계획 수립을 통해 사업대상지 내 거주하던 원주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해 줄 것과 향후 보상에 따른 이주대책을 조속히 세워줄 것을 당부했다.
시는 2023년 11월 15일 '이동공공주택지구' 계획이 나옴에 따라 지난해 3월부터 주민대책위원회 관계자, 이장 등 신도시 예정지의 주민대표 등과 여러 차례 간담회를 진행하며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 조성의 필요성과 반도체 신도시 조성 방향 등을 설명하며 주민들의 이해와 협조를 당부해 왔다.
시는 또 정부와 사업시행자에 대해 속도전이 필요한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주민들의 양보를 받는 만큼 주민들을 위한 제대로 된 보상과 이주대책을 수립해달라고 요구해 왔다. 시가 주민설명회를 열어 지속해서 소통하며 의견을 수렴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이상일 시장은 "이동 신도시에는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 등에서 일할 IT 인재들이 주로 입주하게 되는 만큼 국가산단의 첫 번째 팹 가동시기와 비슷한 시점에 신도시 입주가 가능하도록 행정절차도 신속히 진행할 방침"이라며 "사업을 신속히 추진하려면 보상과 이주가 원활하게 이뤄져야 하므로 원주민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해 제대로 된 보상과 이주대책이 수립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Copyright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