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중격 만곡증이 있는 사람들은 코가 잘 막히는 탓에 숨을 편안하게 쉬지 못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불편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문제다. 심한 경우 외관상으로도 휘어 있는 것이 보이기도 하는데, 이비인후과 전문의 김영효 원장(김영효이비인후과의원)은 "비중격 만곡증으로 인한 코막힘 등의 증상이 심하다면 수술 등의 치료를 적극적으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라고 조언했다. 김 원장에게 비중격 만곡증의 치료 방법에 대해 자세히 들어 봤다.
코의 기둥 휘어지는 '비중격 만곡증', 일상 속 불편 가져올 수도
코는 콧대를 기준으로 좌우로 나눌 수 있는데, 콧대 아래에는 콧구멍을 좌우로 나누는 칸막이와 같은 벽이 있다. 이 벽이 바로 '비중격'인데, 연골과 뼈로 이루어져 코의 중심을 잡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비중격이 코안에서 반듯하게 서 있지 않고 한쪽으로 휘어 있는 경우라면 '비중격 만곡증'이 있다는 진단을 받을 수 있다.
사실 비중격 자체는 완전히 곧은 형태보다는 약간이나마 휘어 있는 사람들이 더욱 많은 편이다. 진단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유병률이 34~89.2%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도 제시되고 있는 상황. 그렇지만 일상생활 중 별다른 불편한 증상이 없고, 외관상으로도 별다른 이상이 없어 스스로의 비중격이 휘어 있는지조차도 모르는 사람들이 적지 않은 편이다.
이러한 코막힘 증상은 잠을 자려고 누웠을 때 좀 더 심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누운 자세에서는 머리 쪽으로 흐르는 혈류량이 많아지는데, 이에 따라 콧속의 혈관도 팽창하면서 코 점막이 붓기 때문이다. 그래서 비중격 만곡증이 있는 사람들은 코막힘 증상으로 인해 편안하게 잠들기 어렵거나, 수면의 질이 떨어진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김 원장은 "비중격 만곡증이 있으면 콧속 공기 흐름이 원활하지 않고, 염증이 오래 지속되기 때문에 코감기와 축농증에도 더욱 잘 걸릴 수 있다"라며 "코 점막이 쉽게 건조해져 겨울철에는 다른 사람들보다 코피가 더 자주 나기도 한다"라고 덧붙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비중격 바로잡는 수술 필요할 수도…어려도 수술 가능할까?
만약 비중격 만곡증이 심하지 않고, 비염 등으로 인해 코가 더욱 잘 막히는 상황이라면 항히스타민제나 비강 내 스테로이드 스프레이(나잘스프레이)등의 약물치료만으로도 증상이 개선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비중격 만곡증이 심한 사람이라면, 이러한 치료가 일시적인 증상 완화 효과만 있는 만큼 보다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할 수 있다.
다만 너무 어린 나이에 비중격 만곡증으로 진단되는 경우, 즉각적으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만 15~16세 이하의 어린 나이라면 코의 성장이 진행 중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 그렇지만 이보다 어린 나이라고 해도, 비중격이 너무 심하게 휘어서 정상적인 호흡이 어렵거나 만성 축농증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동반되는 상태라면 보존적으로 수술을 진행할 수도 있다. 김 원장은 "최근 연구에 따르면 만 10세 이후의 아이들에게 보존적으로 비중격 수술을 시행하면 비교적 안전하다는 결과도 있다"라며 "어리다고 해도 증상이 심하다면 치료를 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나을 수도 있는 만큼 의료진과 충분히 상의해 결정하는 것이 좋겠다"라고 전했다.
수술 후 재발하는 경우도 있어…올바른 관리 필요해
이렇게 비중격 교정술을 받는다면 코막힘 등의 불편한 증상이 해결되면서 일상생활이 훨씬 편안해지고, 수면의 질이 높아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충분한 회복과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몇 가지 지켜야 할 사항이 있다는 것이 김영효 원장의 조언이다.
비중격 교정술을 받은 후 1주일 정도는 과도한 운동이나 무리한 활동은 피해야 한다. 또한 코가 답답하거나 막힌 느낌이 들더라도 코를 세게 풀어서는 안 되며, 생리식염수를 사용해 코 세척을 하는 것이 더욱 도움이 된다. 김 원장은 "코를 풀면 코 점막에 상처가 날 수 있으므로 좋지 않고, 흡연이나 음주 등은 출혈을 유발하고 상처 회복을 방해할 수 있는 만큼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라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Copyright ⓒ 하이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안세진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hidoceditor@mcircle.biz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