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방문 밴스 “덴마크 투자 부족”
덴마크 “동맹에 그런 식 말 안해” 불만
AP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극권 광물 자원의 보고로 꼽히는 덴마크령 그린란드에 대해 “우리(미국)가 100% 가져올 것”이라며 군사 수단도 배제하지 않겠다고 29일 밝혔다. 하루 전 J D 밴스 미국 부통령 또한 그린란드의 피투피크 미 공군 기지를 찾아 “그린란드 안보에 대한 덴마크의 투자가 부족했다”고 비판했다. 그린란드를 미국 땅으로 만들겠다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주요 인사의 발언 수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NBC방송 인터뷰에서 “우리는 그린란드를 가져올 것이다. (그럴 가능성이) 100%”라며 “우리의 군사력 없이도 가능하겠지만 (군사력 동원 가능성을) 배제하진 않겠다”고 밝혔다.
그는 같은 날 트루스소셜을 통해 플로리다주 팜비치카운티의 ‘트럼프 인터내셔널 골프 클럽’에서 알렉산데르 스투브 핀란드 대통령과 골프를 즐긴 사실도 공개했다. 두 정상은 골프뿐 아니라 조찬과 오찬도 함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스투브 대통령과 나는 미국과 핀란드의 파트너십 강화를 기대하고 있다”며 쇄빙선 개발을 양국 협력 사업 중 하나로 거론했다.
세계 쇄빙선의 상당수는 핀란드 기업이 설계하고 핀란드 내 조선소에서 건조된다. 이에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쇄빙선 강국’ 핀란드와 협력해 그린란드 확보에 속도를 내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북극권에서 패권 갈등을 벌이고 있는 러시아와 중국에 맞서 그린란드를 통제하려면 쇄빙선 확보가 급선무라는 판단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러자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는 “우린 수년간 매우 어려운 상황일 때 미국과 나란히 서 있었다. 밴스 부통령이 덴마크를 언급하는 건 정확한 방법이 아니다”라고 반발했다. 그는 다음 달 2∼4일 그린란드를 찾아 차기 그린란드 총리인 옌스프레데리크 닐센 민주당 대표와 회동하기로 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인 1940년 나치 독일은 덴마크를 점령했다. 그러자 미국은 당시 덴마크 식민지였던 그린란드가 나치의 군사 기지로 활용될 것을 우려해 이듬해부터 이곳에 군대를 주둔시켰다. 미국은 1949년 덴마크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에 가입하며 이곳의 지정학적 가치가 더 커지자 1951년 덴마크와 ‘그린란드 방위 협정’을 체결해 그린란드 내 군사기지 운영권을 확보했다. 그린란드는 1953년 자치권을 얻었지만 사실상 재정을 덴마크에 의존하고 있다.
파리=조은아 특파원 achim@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