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한해 산악사고 1만건…사고다발지역 '안전지킴이' 운영한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소방청 안전대책…산악위치표지판 등 안전시설물 1만2천개 정비

연합뉴스

산악사고 구조 훈련
<<부산시소방본부 제공>> 119구조대가 산악사고를 대비해 인명구조훈련을 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소방청은 등산객 안전사고 예방과 산악사고 시 신속한 구조 대응을 위해 4월부터 산악사고 안전대책을 추진한다고 31일 밝혔다.

소방청에 따르면 2024년 전국에서 119구조대가 출동한 산악사고 구조 건수는 1만134건이다. 전년(1만807건)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최근 5년간 월별 구조활동 현황을 보면 산악사고는 봄철인 4월부터 증가해 가을철인 9∼10월 가장 많이 발생했다.

산악사고 원인으로는 '실족'이 26.9%로 가장 많았고, '길잃음' 23.5%, '탈진·탈수' 5.2% 등의 순이었다. 등산객이 평소 앓고 있는 질환·질병 등 개인 건강 상태보다는 사고 부상, 조난 등 안전 부주의에 의한 사고가 대부분이었다.

요일·시간대별로는 산악사고 절반 이상(54.1%)이 주말인 토요일과 일요일에 집중됐다. 낮 시간대(오전 11시∼오후 4시)에 인명피해 발생률이 높았다.

소방청은 안전한 산행을 돕기 위해 '산악안전지킴이' 운영, 주요 등산로 안전시설물 정비, 산악위치표지판 보완 등을 담은 안전대책을 추진한다.

연합뉴스

2024년 산악사고 유형별 구조건수
[소방청 제공]


산악안전지킴이는 최근 3년간 산악사고가 빈발한 지역에 배치한다.

소방공무원과 의용소방대원, 민간자원봉사자 중심으로 전문인력을 모집해 구성하며 등산객 안전산행 홍보활동 및 유동순찰 등을 통해 사고발생 시 신속한 구조·구호활동에 나선다.

또 전국 주요 등산로에 설치된 산악위치표지판, 간이구조구급함 등 안전시설물 1만2천344개를 점검·정비한다. 절벽 등 산악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곳은 관할 지자체와 함께 안전시설물을 보강한다.

김재운 소방청 구조과장은 "산을 찾을 때는 자신의 체력에 맞는 등산코스를 선택하고 정해진 등산로만 이용하는 등 산행 안전수칙을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eddi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