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8일 태백 옛 함태광업소 폐갱도 안에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달 탐사 로버가 토양을 채취하는 것을 시연하고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 28일 강원도 태백시 소재 옛 함태광업소 폐갱도 안에서는 SF 영화처럼 화성을 누비던 '로버'(무인탐사기) 석 대가 나란히 달렸다. 360도를 회전하는 바퀴를 이용해 폐광 안 굴곡진 경사를 넘나들고 구석에서도 어려움 없이 빠져나왔다. 로버 한 대가 앞쪽 바닥에 타닥타닥 소리를 내며 레이저를 쏘자 옆쪽에 놓인 모니터에는 바닥 토양에 있는 원소들 종류와 비율이 실시간으로 나타났다.
작업자가 버튼을 누르자 다른 로버에서 엄지손톱만 한 삽이 나왔다. 울퉁불퉁한 바닥을 헤치고 나아가 앞쪽에 놓인 모래를 살포시 뜨더니 로버 내부 보관함에 담았다. 모래 양은 1g. 이 탐사기들은 태백의 폐광에서 무수한 시험을 거친 뒤 38만㎞ 떨어진 달에 가서 똑같이 모래 1g을 떠올 예정이다. 그 모래 안에 인류가 사용할 미래 에너지원이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지질연)은 이날 '폐광 내 달 현지자원 실증 시연회'를 열고 달 현지자원 개발 기술을 보여줬다. 평균 해발고도가 900m인 강원도 태백시는 국내에서 해발고도가 가장 높다. 한국에서 우주와 가장 가까운 도시인 셈이다. 앞으로 이곳은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우주자원 탐사 기술의 테스트베드로 변신한다.
폐광 내부 환경은 달의 남극과 비슷하다. 햇빛이 전혀 들지 않고 기온이 매우 낮다. 깊은 분화구가 많아서 지형이 험하고 미세먼지가 심해 시야 확보도 어렵다. 달에 보내기 전 장비 성능을 시험할 장소로 폐광이 낙점된 이유다. 지질연은 지난 2월 태백시와 양해각서를 체결했고, 앞으로 폐광에서 우주자원 탐사 기술을 연구할 계획이다. 폐광에서 우주자원 탐사 기술을 실증하는 건 이번이 세계 최초다.
김경자 지질연 우주자원개발센터장은 "세계적인 자원전쟁에 끼어들려면 한국이 자체적으로 우주자원을 개발해야 하고, 여러 기관이 힘을 합쳐 국가적 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했다. 달 표면을 직접 돌아다닐 로버, 필요한 에너지를 만드는 소형 원자로, 로버에 에너지를 전달할 무선전력전송 기술 등이 필요해 개별 연구자나 연구기관으로는 감당할 수 없다.
이번 시연회에서는 여러 기관에서 개발한 장비들이 공개됐다. 한국전기연구원이 개발한 무선송전시스템은 레이저를 이용해 전선 없이도 1㎞ 떨어진 곳까지 50%의 효율로 전력을 보낼 수 있다. 방효충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가 개발한 초저궤도 위성 큐브샛은 달 표면에서 10~50㎞ 떨어진 저궤도를 돌면서 달 표면의 자원을 자세하게 살핀다.
이평구 지질연 원장은 "1960년대 태백에서 수많은 광부들이 캐낸 석탄이 한국의 산업화를 이끌었다"며 "미래 세대가 사용할 에너지원 탐사를 이곳 태백에서 시작해 더욱 뜻깊다"고 소회를 밝혔다.
[태백 최원석 기자]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