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3722가구로 전월보다 3.7% 증가했다.
‘악성 미분양’으로 평가받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지난 2023년 말 1만 857가구에서 지난해 말 2만 1480가구로 2배가량 급증한 바 있다. 이후에도 매월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내는 상황이다.
특히 충북은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1월 403가구에서 지난달 565가구로 40% 이상 급증했다. 수도권은 1만 7600가구로 전월보다 10.9% 감소했고, 지방은 5만 2461가구로 0.8% 감소했다. 규모별로는 85㎡ 초과 미분양은 전월보다 1.8% 줄어든 1만 684가구, 85㎡ 이하는 3.8% 감소한 5만 9377가구를 나타냈다.
서울의 인허가 물량은 큰 폭으로 늘었다. 서울 주택 인허가 물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7.6% 늘어난 4844가구를 나타냈다. 하지만 수도권 인허가 물량은 7003가구에 그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5% 줄었다. 비수도권 인허가 물량도 전년보다 60% 이상 줄어든 5500가구를 나타냈다.
신축 아파트 분양 모델하우스 현장.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의 착공·준공 물량도 모두 감소했다.
지난달 주택 거래량은 신학기 이사 등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크게 늘었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