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일부터 서울, 대전 교통카드 데이터, 민간도 분석 가능
서울 동작구 사당역 앞 버스정류장에서 승객들이 내리고 있다. ⓒ News1 민경석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종=뉴스1) 조용훈 기자 = 앞으로 민간에서도 교통카드 데이터를 자유롭게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안전한 분석 환경을 제공하는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해 교통카드 빅데이터를 개방한다고 1일 밝혔다.
교통카드 데이터에는 대중교통 승·하차 시간 및 장소, 이용 패턴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국가 및 지자체의 교통정책 수립에 활용되고 있다. 현재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가공된 형태로만 민간에 제공되고 있었으나, 이번 개방을 통해 민간에서도 데이터를 직접 분석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데이터안심구역 이용절차 및 예시.(국토교통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해 교통카드 데이터를 분석하고자 하는 경우, 전용 포털에서 회원가입 후 신청서를 작성해 승인을 받아야 한다. 승인 후에는 지정된 공간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분석할 수 있다.
국토부는 이번 개방을 통해 민간 기업, 연구기관, 학계 등 다양한 주체가 데이터를 활용하여 새로운 대중교통 서비스와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중교통 이용량이 많은 시간대와 노선을 파악해 수요응답형 대중교통(DRT) 서비스나 공유 모빌리티(전동킥보드, 자전거 등)와의 연계 서비스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엄정희 국토부 교통물류실장은 "이번 교통카드 데이터 개방은 대중교통 이용자의 이동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신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민간 역량을 활용해 이용자 중심의 맞춤형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joyonghu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