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때보다 불안, 살아보려 자격증 공부·노조 가입”
한국GM 용역업체 비정규직 직원 이모씨가 28일 인천 한국GM 부평공장 내 차 출하장에서 완성차들 사이로 서 있다. 김세훈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GM의 비정규직 직원 이모씨(33)는 요즘 전기기사·산업설비기사 자격증 관련 책을 보는 시간이 부쩍 늘었다. 지난해까지 일상이었던 잔업 특근이 최근 사라졌기 때문이다. 주말 근무도 손에 꼽을 정도로 줄었다.
그만큼 월급도 쪼그라들었다. 이씨는 “이전에는 수당을 다 합치면 세전 300만~350만원은 받았는데 요즘은 특근이 사라져서 200만원 수준으로 줄었다”고 말했다.
2교대로 격주로 일하는 방식인 원 시프트제가 도입되면 월급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씨는 코로나 대유행 때를 떠올렸다. 그는 “원시프트가 시행된 코로나 펜데믹 당시 월수입이 150만원 수준으로 급감했다”면서 “쿠팡 등 아르바이트를 하며 버텼고, 주변에서도 배달라이더를 병행하거나 아예 퇴사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회고했다.
한국GM 용역업체 비정규직 직원 이모씨가 28일 인천 한국GM 부평공장에서 마무리 청소작업을 기다리는 완성차를 바라보고 있다. 김세훈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GM ‘철수설’이 불거지자 ‘플랜 B’를 준비하는 직원들이 슬슬 생겨나고 있다. 이씨는 “이미 차 생산량이 3000대 이상 줄었고 올해 생산량이 반토막 날 것이라는 이야기도 들린다”면서 “내색하지 않지만 불안감이 상당하다”고 했다. 그는 “코로나 때는 ‘이 시기만 극복하면 된다’는 공감대가 있었지만 지금 철수설은 일시적인 문제가 아닌 게 더 큰 문제”라고 했다.
이씨는 지난달에 처음으로 노조에 가입했다. 그는 “퇴직이 남의 일만은 아닌 것 같았다. 주변을 보면 40대 가장들이 많다 보니 ‘내가 잘리면 가족은 어떻게 하나’하냐는 말을 많이 하더라”면서 “뭉치기 위해 노조에 들어오고 싶지만 재계약에서 불이익을 받을까봐 망설이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한국GM 용역업체 비정규직 직원 이모씨가 28일 인천 한국GM 부평공장에서 지게차 점검 업무를 하고 있다. 김세훈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0명 무더기 계약해지’ 군산 철수 악몽 떠올라”
25일 서울 서초구 대법원 앞에서 열린 한국지엠 비정규직 불법파견 대법원 선고에 대한 입장 발표 기자회견에서 금속노조 한국지엠비정규직회 소속 조합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4.7.25. 정지윤 선임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완성차 업체에 부품을 납품하는 회사 직원들도 술렁이는 건 마찬가지다.
김씨는 요즘 2018년의 악몽을 떠올다. 김씨가 소속된 회사는 약 400억원을 들여 군산에 자동차 시트 공장을 지었다가 2018년 GM이 군산공장을 철수하면서 고스란히 손해를 봤다. 계약직 직원 200여명도 순차적으로 계약이 종료되거나, 희망퇴직 대상이 됐다. 노조 조합원이었던 김씨도 당시 집회에 나가고 목소리를 높였지만 철수를 막지 못했다. 겨우 회사에 남아있을 수 있었을 뿐이다.
김씨 회사가 만드는 시트는 한국GM이 전체 매출에 80~90%를 차지한다. 현대·기아차 등 다른 자동차 업체에는 이미 대형 납품업체들이 자리를 잡고 있다. 작은 회사들은 대체 판로를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김씨는 “관세가 부과되면 회사의 납품 물량이 최소 50~70%는 줄어들 것”이라면서 “GM만 납품하는 회사들은 대부분 영세한 업체들이라 GM이 정말 철수한다면 문 닫을 걱정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치권도 대응에 나섰지만 김씨의 기대는 크지 않다. 금속노조는 지난 17일 부평공장에서 국회의원 등을 초청해 해법을 찾는 간담회를 열었다. 회사 측에서도 ‘당장 뚜렷하게 대책을 세울 수 있는 게 없다’고 말하고 있다.
“공장이 멈췄다···노동자 소모품으로만 보는 회사 아쉬워”
10일 경북 포항시 남구 장흥동 현대제철 포항2공장 앞에 현대제철 자회사 현대IMC 노조의 고용불안을 호소하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대제철 포항공장 축소운영은 국내 제조업 쇠락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중국산 저가 철강 제품은 파상 공세를 벌여왔다. 국내 건설경기 부진도 겹쳤다. 철강을 쓰려는 곳이 확연히 줄였다. 공장을 돌릴수록 적자가 났다. 결국 공장이 멈췄다. 지난해 말부터 포항공장 내 1·2공장 중 2공장 가동이 일부 중단됐다. 현대제철은 최근 포항공장 내 기술직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받고 있다.
현대제철 노조 관계자 박우명씨(가명·49)는 “희망퇴직은 사무직 위주로 받아왔는데 이번에는 기술직도 포함됐다”며 “그만큼 위기감이 커졌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결국 공장 가동률은 70% 이하로 뚝 떨어졌다. 평소엔 80~90% 수준이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난 12일부터는 트럼프 대통령 예고한 관세 25% 추가 부과도 시행됐다. 박씨는 “관세가 부과되면 수출이 줄어들 수 밖에 없고, 상호 관세 부과 등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에서 걱정이 크다”고 우려했다.
인력 감축이 눈 앞으로 다가왔다. 지금까지 희망퇴직에는 10여명 이상이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은퇴한 이들의 재고용도 무산됐다. 기존 인력들은 공장 가동 중단에 따라 충남 당진 등 타 지역으로 재배치될 예정이다. 박씨는 “재고용을 하지 않고 그 업무를 기존 인력으로 채우겠다는 것”이라며 “포항이 잘 나갈 때는 노동자가 1400명 정도였는데 당진 공장으로 인원이 빠져나가면서 지금은 1200명 수준으로 줄었다”고 했다.
박씨는 “노동자는 회사가 힘들어도 같이 버티면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회사는 우리를 상황에 따라 뗐다 붙였다 할 수 있는 ‘부품’ 정도로 여기는 것 같아 힘들다”고 말했다.
김세훈 기자 ksh3712@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