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부터 분석 후 결과 반출
앞으로 교통카드 이용정보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를 민간에서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됐다. /더팩트 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더팩트|이중삼 기자] 앞으로 교통카드 이용정보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를 민간에서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TS)은 1일부터 교통카드 빅데이터를 개방하고,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분석 환경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교통카드 데이터는 대중교통 승·하차 시간·장소, 이용 패턴 등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공공에서는 신규 버스 노선 도입 등 교통정책 수립에 활용되고 있다. 수집량은 하루 평균 2300만건에 달한다. 지난 2018년부터 총 110TB 분량이 수집됐다. 그러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현행 대중교통법에 따라서 민간에는 가공해 집계한 형태로만 제공되고 있다.
데이터안심구역은 데이터산업법에 따라 지정된 기술적·물리적·관리적 보안대책 등이 갖춰진 시설이다. 누구든지 데이터를 안전하게 분석·활용할 수 있는 구역이다. 다양한 미개방데이터의 안전한 분석 환경 제공, 분석도구·분석결과 반출 지원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국토부는 이번 개방으로 민간 기업·연구기관·학계 등 다양한 주체가 교통카드 빅데이터를 연구와 서비스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교통카드 빅데이터를 활용하면 대중교통 이용량이 많은 시간대·노선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수요응답형 대중교통(DRT) 서비스와 전동킥보드, 자전거 등 공유 모빌리티 연계 서비스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다.
국토부는 오는 2026년 12월까지 데이터안심구역에서 개방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자 만족도 조사·활용사례 분석 등 운영결과를 기반으로 필요시 대중교통법 개정도 검토할 방침이다.
엄정희 국토부 교통물류실장은 "민간 역량을 활용해 대중교통 이용자가 원하는 지표에 대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신규 대중교통 서비스 개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js@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