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원·달러 환율 0.1원 상승한 1473.0원에 개장
지난달 31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 환율 등 지수가 표시돼 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주간 거래에서 1472.9원으로 마치며 연중 최고점을 찍었다. /남윤호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더팩트│황원영 기자] 원·달러 환율이 2009년 금융위기 수준까지 치솟으며 외환시장 긴장감을 높이는 가운데 4월 첫날에도 상승 출발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우려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등이 원화 가치를 짓누르는 상황이다. 시장은 이달 대내외 불확실성이 쏠린 만큼 1500원대 진입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전망한다.
1일 서울 외환시장 주간 거래(오전9시~오후3시30분)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 대비 0.1원 오른 달러당 1473.0원으로 개장했다.
전날 원·달러 환율은 주간 거래에서 1472.9원으로 마치며 연중 최고점을 찍었다.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3월 13일(1483.5원) 이후 최고 수준이기도 하다.
원화는 주요국 통화 대비 나홀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에 따르면 최근 1개월 사이 달러 대비 원화 가치는 1.6% 하락했는데, 중국(0.4%), 인도(1.6%), 러시아(3.5%), 브라질(1.6%), 멕시코(0.8%) 등 주요 신흥국 통화값은 반등했다. 주요국 중에서도 일본(-0.7%)을 제외한 유로화(3.7%), 영국 파운드화(2.6%), 스위스 프랑(2.0%), 캐나다 달러(0.7%), 호주 달러(0.8%)가 모두 올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철강·알루미늄·자동차 등 개별 품목 관세에 이어 오는 2일(현지시간) 전 세계 국가들의 대미 관세와 비관세 무역장벽을 고려한 상호관세를 발표한다. 3일부터는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품인 자동차와 관련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국내 정치 불안도 원화 약세 요인이다. 대통령 탄핵 심판이 지체되며 정치 공백이 발생했고, 불확실성에 따른 원화 매도와 달러 매수가 이어지고 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국내 정치 불확실성 장기화에 따른 정책부재 그리고 최근 잇따른 건설업체 및 유통업체를 중심으로 한 신용 리스크 부각 등이 원화와 여타 통화 간 차별화로 나타나고 있다"며 "헌법재판소의 탄핵 관련 판결 지연이라는 정치 불확실성 장기화도 원화 약세 요인이지만 헌재 결정 수용 여부를 둘러싼 분열 혹은 갈등 확산 우려감 역시 원화 가치의 상대적 약세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영국계 금융사 캐피털 이코노믹스(CE) 역시 최근 보고서를 통해 원·달러 환율이 연말 1500원대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CE는 정치 위기에 따른 정부 지출 둔화를 이유로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1.0%에서 0.9%로 낮춰잡았다.
반면, 원·달러 환율의 1500원 돌파 가능성은 작다는 의견도 있다. 무역전쟁과 국내 정치 불안이 충분히 반영됐다는 점에서다.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2분기 초반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를 전제로 원·달러 하락 전망을 고수한다"며 원·달러 밴드를 1360~1480원으로 제시했다.
wony@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