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생귤·무화과시루에 이어 망고시루에도 가루쌀 사용 예정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 속 편안함' 강점
농식품부, 2025년 가루쌀 제과·제빵 신메뉴 개발 사업 출범식’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달 2일부터 나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베이커리 페어'에 전국에서 판매 중인 가루쌀 빵을 선보이고, 지역 베이커리 100여곳이 참여하는 '2025년 가루쌀 제과·제빵 신메뉴 개발 사업 출범식'을 연다고 1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쌀 과잉을 낮추고 수입 밀가루 대체를 위해 도입된 가루쌀 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역 베이커리가 가루쌀을 원료로 한 빵류를 개발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대한제과협회와 협력해 참여업체 대상 신메뉴 개발에 필요한 원료 공급과 가공적성 교육, 품평회 개최, 마케팅 등을 지원하고 있다.
그동안 개발된 가루쌀 빵은 베이커리에서 실제 판매되고 있다. 성심당은 가루쌀을 이용해 지난해 과일시루와 생귤·무화과시루 등 3종을 출시했다. 올해는 딸기시루에 이어 연말부턴 망고시루에도 가루쌀을 사용할 예정이다. 또 뚜레쥬르는 기본좋은 쌀베이글 등 8종, 그린하우스는 쌀식빵 등 38종, 독일베이커리는 찹쌀꽈배기 등 22종, 그라츠과자점은 샌드위치 등 23종을 개발해 소비자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들 베이커리는 국산 가루쌀을 원료로 사용해 농가와 상생하는 한편,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 속이 편안함 등이 가루쌀 제품의 장점이라고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변상문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정부는 쌀 수급안정에 기여하는 가루쌀이 산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수급안정과 수요창출을 위해 지속해서 노력할 계획"이라며 "제빵 분야는 가루쌀의 활용도가 높아 확대 가능성이 예상되는 만큼, 제빵 업계 및 관련 단체 등과 협업해 우수한 가루쌀 제품이 더욱 많이 출시되고 소비자들이 즐겨 찾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