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글로벌 전망모형 재구축 결과 발표
美 GDP 성장률 1%p 상승시 韓 연간성장률 0.10%p↑
신흥아시아·유로지역·일본은 0.04%p 늘어나는 수준
韓, 대외의존도 높아 美 통화정책 영향 더 크게 받을수도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가 미국 통화정책 충격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자료=한국은행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은행은 국제통화기금(IMF)을 참고해 2014년 개발·운용 중인 글로벌 전망모형(BOK-GPM)을 세계경제환경 변화 및 최신 연구동향을 반영해 재구축한 결과, 이러한 분석 데이터가 나왔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재구축을 통해 BOK-GPM 내 대외충격의 국가간 파급경로인 무역경로, 환율경로 및 금융경로를 정교화 했다. 추정기간은 팬데믹 이후 2023년까지 연장했으며, 신흥아시아 경제를 추가해 기존의 다국가모형을 확장했다.
미국이 GDP갭 1%포인트 상승 충격 발생 후, 1차년도 국가별 연간 GDP 성장률(4분기 평균 국가별 GDP갭)을 보면 한국이 0.10%포인트를 기록해 중국(0.02%포인트), 신흥아시아·유로지역·일본(0.04%포인트)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2018년 미·중 무역갈등과 2020년 팬데믹을 거치면서 중국의 영향은 다소 줄어들었으나 미국의 영향은 확대된 것으로 분석됐다.
자료=한국은행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또한 미국 통화정책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기존 모형에 비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 정책금리 인상에 따른 달러화 강세와 미 채권시장의 신용스프레드 상승이 글로벌 교역을 위축시키고 여타국의 금융여건을 동반 악화시키는 경향을 감안할 때,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가 미 통화정책 충격의 영향을 더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은은 BOK-GPM 재구축을 통해 글로벌 교역환경 변화를 반영하고, 환율경로 및 국가간 금융연계를 강화함으로써 향후 글로벌 경제전망 및 대외충격의 영향에 관한 정책분석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한은 관계자는 “향후 미·중 정책기조 변화의 잠재적 위험을 줄이기 위해 수출시장 다변화를 추진하는 한편, 미 달러화의 향방과 미국 금융여건 변화가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