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사기 피해자들이 지난해 11월 서울 서초구 대법원 앞에서 인천 미추홀구 전세사기 일당에 대한 감형 판결 파기환송을 요구하며 엄벌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한수빈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토교통부가 전세사기 피해주택 매입사업을 통해 피해보증금 대비 평균 회복률을 약 80%까지 끌어올렸다고 밝혔다. 한국토지공사(LH)가 피해주택을 경·공매로 낮은 가격에 사들여 생긴 차익을 피해자에게 돌려주면서 가능해진 일이다.
국토부는 1일 전세사기 피해주택 매입 사업에 따라 배당금·겅매차익 산정까지 완료된 44호를 분석한 결과 피해보증금 대비 평균 피해 회복률은 78%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1월 전세사기피해자법 개정으로 전세사기 피해주택 매입사업의 피해구제 범위가 넓어졌기 떄문이다. LH가 피해주택을 경·공매를 통해 낙찰받아 생긴 차익을 피해자가 보증금 손실을 메우는 데 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전까진 경매 차익을 피해자 임차료 지원에만 쓸 수 있었다.
법 개정 이후 특히 후순위 피해자들의 손실이 크게 줄었다. 국토부가 분석한 44호 중 28호는 보증금 변제 순서가 밀린 후순위 피해자 사례였다.
인천 미추홀구에서는 후순위 피해자임에도 피해금액 전부를 회복한 사례 두건이 나오기도 했다.
국토부는 지난달 31일 기준 총 9889건의 피해주택 매입 사전협의 요청이 들어왔으며 이 중 2250건은 심의를 거쳐 피해자에게 매입이 가능함을 알렸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LH가 매입한 피해주택은 총 307호다.
한편 국토부는 지난 한 달 동안 전세사기피해지원위원회 전체회의를 통해 2062건을 심의하고 총 873건에 대해 전세사기 피해자로 최종 의결했다고 밝혔다. 그간 위원회가 최종 결정한 누적 피해자는 총 2만8666건으로 이중 2만7296건에게 주거·금융·법적 절차 지원을 했다고 덧붙였다.
김지혜 기자 kimg@kyunghyang.com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