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정부, 무역장벽 대상 지목에
유상임 장관 "EU식 제재 안돼"
양국 통상마찰 비화 우려 커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구글·넷플릭스 등 해외 빅테크와의 망 사용료 갈등이 한미 간 통상 마찰로 번질 우려가 커졌다. 미국 정부가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망 사용료를 포함해 국내 입법이 추진 중인 빅테크 규제들을 자국 기업에 불리한 ‘무역장벽’으로 꼽으면서다. 이에 주무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우선 빅테크 규제보다 한미 관계 개선에 주력해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1일 망 사용료 문제 등을 지적한 미국의 ‘국가별 무역장벽 보고서(NTE)’ 발표 직후 서울경제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유럽연합(EU)처럼 정부가 나서서 (강하게 빅테크를) 제재해서는 안 된다”며 “우리 측 피해만 생각해서는 안 되고 이득도 상당할 것이기 때문에 빅테크와 상호 공존할 길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통신업계에서도 통상 마찰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 망 사용료를 무역장벽이라고 선언한 이상 우리 법 통과도 더 어려워질 것”며 “미국의 파워게임(힘겨루기) 양상으로 가버린다면 30년이 지나도 망 사용료를 못 받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이슈와 겹쳐 정부와 국회 차원의 대응도 당분간 쉽지 않을 거라는 게 업계의 반응이다. 망 무임승차 방지법은 21대에 이어 이번 22대 국회에서도 발의됐지만 통상 마찰 우려 등으로 계류 중이다.
반면 CP는 ISP가 이미 이용자에게 통신료를 받고 있으며 망 사용료 부과가 인터넷상 모든 데이터의 차별이 없어야 한다는 망 중립성 원칙에 위배된다며 맞서고 있다. SK브로드밴드와 넷플릭스가 소송까지 갔다가 인터넷(IP)TV 콘텐츠 제휴로 상호 합의하는 등 개별 사업자 간 협상 사례는 있지만 정부 차원의 망 사용료 규정은 아직 없다.
김윤수 기자 sookim@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