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트럼프 “김정은과 소통…어느 시점 무엇인가 할 것”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재차 북과 대화 의지 밝혀

북, 공개적 반응 않고 관망

한국, 북·미 대화 대비해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어느 시점에 무엇인가 할 것”이라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대화 의지를 재차 밝혔다.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후 북·미 대화가 급물살을 탈 가능성에 대비해 한국 정부가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 위원장에게 연락할 계획이 있나’라는 질문에 “그렇다”며 “나는 어느 시점에 무엇인가를 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나는 김정은과 좋은 관계를 갖고 있다”며 “우리는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북한은) 큰 핵 국가(big nuclear nation)”라고 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일 통화에서 “기회가 되면 북한 문제에 집중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유화적 메시지”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에 사용한 ‘큰 핵 국가’ 표현은 핵확산금지조약(NPT) 체제의 핵보유국(nuclear weapon state) 개념과는 차이가 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핵 보유 현실을 일관되고 유의미하게 인식한다는 점에서 간과할 수 없다는 해석이 나온다. 미국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보다 ‘핵 군축’ 문제로 접근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어느 시점”의 북·미 접촉은 이른 시일이 되기는 어렵다고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미국은 당장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예멘 후티 반군 공습과 이란 비핵화 압박,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문제에 집중하고 있다.

북한과 소통하고 있다는 발언은 그간의 언급에서 나아간 내용이라 여러 해석이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북한 문제를 언급했을 가능성, 리처드 그리넬 북한·베네수엘라 담당 특사 등을 통해 북한과 물밑 접촉을 시도했을 가능성 등이 거론된다. 북·미 접촉 징후는 아직 보이지 않는다는 분석도 있다.

북한은 트럼프 대통령 발언에 공개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등 불확실성이 커진 국제정세 추이를 지켜보는 상황으로 평가된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을 자극하지는 않으려는 모습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외교안보 라인 인선이 마무리되고 대북 정책이 구체적으로 가시화될 때까지 북한이 기다릴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립 서비스’를 경계할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북·미 접촉이 ‘시점’의 문제로 현실화한 만큼 한국 정부도 남북 긴장 완화 노력과 더불어 외교적 대비를 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빨리 리더십을 확보해 트럼프 행정부 대북 정책에 한국 입장이 들어가게 해야 한다”며 “(대북 정책 수립) 길목에 있는 인사들과 확실한 네트워크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광연 기자 lightyear@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