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이번 부화 성공이 2022년부터 추진한 황새 텃새화 사업 전환점이자 향후 황새의 자연 정착, 개체 복원의 디딤돌이 되리라 본다.
황새부부는 지난해 1월 알 5개, 2월 알 4개를 부화했으나 무정란으로 밝혀져 자연부화에는 실패했다. 이후 올해 2월 알 5개를 낳아 품었지만 또다시 무정란으로 확인된 바 있다.
김해 황새 부부. 2025.4.2. 김해시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처럼 부화가 어렵게 되자 시는 국가유산청, 예산황새공원 전문가들과 협의한 끝에 건강한 알 4개를 교체하고 황새부부가 품는 절차를 조심스럽게 진행했다.
황새부부는 현재 나머지 알 1개도 부화시키고자 번갈아 품고 있다.
시는 새끼 황새가 건강하게 자라면 오는 7월 자연으로 내보낼 계획이다.
이용규 김해시 환경정책과장은 “이번 부화는 전문가 협력과 치밀한 환경 조성 덕분”이라며 “황새가 자연 속에서 자생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환경관리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2022년 10월 충남 예산 황새공원에서 자란 암컷 황새 ‘금이’와 수컷 ‘관이’를 입식해 봉하뜰에 정착시켰으나 이듬해 암컷이 폐사하는 시련을 겪었다.
황새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 제199호로 지정된 희귀 조류다.
김해 이창언 기자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