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타닐·이민자 문제로 부과된 25% 관세 낮추기 위한 협상 주력 전망
멕시코, ‘예외품목 확대’ 협상 주력…車산업 부문 강화안 등 발표 예고
총선 앞둔 캐나다 “힘 가지고 행동해야”…‘보복관세’ 맞불로 기우나
지난 2월 3일(현지시간) 디트로이트의 앰배서더 브리지 근처에 멕시코, 캐나다, 미국 국기가 전시돼 있다. [A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김영철 기자] 미국의 핵심 교역 상대국이자 대미무역수지 흑자국인 멕시코와 캐나다는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방패 삼아 미국의 상호관세 충격파를 완화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두 나라는 USMCA 규정 준수 품목에 대한 무관세 조처를 활용하면서 관세 우대 규모 확대와 상호관세 비율 감경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른 한편으론 ‘마약 펜타닐·불법 이주 책임’을 빌미로 미국이 부과한 25% 관세의 파장을 줄이기 위한 협상에 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우리도 국민을 보호해야 한다”는 국내 목소리가 커지거나, 미국의 부당한 압박이 강화될 경우 보복관세 부과로 맞대응할 가능성도 여전히 상존한다.
2일(현지시간) 미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방침 발표 이후 홈페이지에 게시한 설명 자료(팩트 시트)에서 “캐나다와 멕시코는 이번 행정명령 영향을 받지 않으며, USMCA 기준에 맞는 제품은 무관세 적용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IEEPA 명령 효력이 종료되면, USMCA 비준수 상품에는 12%의 상호 관세가 부과된다”면서 “USMCA 준수 상품은 계속해서 특혜를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멕시코는 美 적극 협조…셰인바움 “포괄적인 계획 3일 발표”
2일(현지시간) 오전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이 멕시코시티 국립궁전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A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멕시코의 경우 일부 국내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이미 북부 국경 보안 강화, 마약사범 범죄인 인도, 추방자 수용, 미 정보당국의 감시 활동 허용 등 다양한 형태로 미국 정부와 협력하고 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미국에서 눈엣가시로 여기는 마약사범을 추가로 범죄인 인도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멕시코 정부는 지난 2월에도 미국 당국에서 원하는 범죄자 29명을 전격 이송했는데, 이는 멕시코 정부의 적극적인 ‘관세 회피’ 노력의 하나로 지목됐다. 캐나다 역시 마약 단속에 고삐를 죄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인 지난해 연말엔 펜타닐·메스암페타민 9500만회 투약 분량의 마약류를 압수하기도 했다.
멕시코 경제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대미 교역 자료와 미국 행정부 설명을 종합하면 지난해 기준 무역 통계상 멕시코산 수입품 중 USMCA 적용 대상은 49% 수준이다. 나머지 51% 중 41%는 최혜국 대우에 따라 낮은 관세를 적용받은 것으로 분류된다.
캐나다산의 경우엔 38%가 USMCA 적용 대상이며, 62%가 비대상이라고 백악관은 소개했다.
멕시코 경제부는 미국을 상대로 한 수출업체들에 “생산 시스템을 USMCA 규정에 맞춰 조정할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고 엘에코노미스타를 비롯한 현지 매체는 보도하기도 했다.
멕시코에는 미국 업체를 비롯해 주요 글로벌 완성차 업체 생산 법인이 대거 자리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자동차는 ‘USMCA 예외’ 부품 등에 대한 미국의 25% 관세 부과로 멕시코에서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지목되는 부문이기도 하다.
반미 정서 캐나다, 연일 항전 메시지…보복 관세 가능성
지난 1일(현지시간) 캐나다 위니펙에서 열린 유세에서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연설하고 있다. [A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후 반미(反美) 정서 부상을 경험하고 있는 캐나다는 멕시코와 달리 ‘항전’ 메시지를 연일 드러내고 있다.
오는 28일 조기 총선을 앞둔 상황에서 캐나다의 자존심을 내세우는 ‘표심’과 맞물려 ‘보복 관세’가 현실화할 가능성도 있다.
마크 카니 총리는 지난달 28일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당면 우려 사항(관세)에 대처하기 위해 장관급 대화 필요성을 피력하면서도, “노동자와 경제를 보호하기 위해” 보복 관세를 시행할 계획임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알렸다고 캐나다 총리실은 전했다.
영국 BBC 방송은 지난 2월 기사에서 “캐나다 정부가 플로리다산 오렌지주스와 켄터키산 버번위스키 등 미국인들의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는 상품들을 (관세 부과) 리스트에 포함한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캐나다 매체들은 관세 대상 상품 액 규모가 370억달러(54조원 상당)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는 상황이다.
카니 총리는 이날도 내각 회의에 앞서 현지 취재진에 “목적과 힘을 가지고 행동하는 게 필요하다”며 “우리는 미국 조처에 상응하는 결정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캐나다 CBC뉴스는 보도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