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12·3 계엄으로 1만명 학살하려 해”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7주년 제주4·3 희생자 추념식 직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취재진을 만나 질의응답하고 있다.[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7주년 제주 4·3 사건 희생자 추념일을 맞아 ‘국가 폭력범죄 시효 배제법’을 다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3일 오전 제주시 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7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을 마친 뒤 기자들을 만나 “국가 폭력범죄에 대한 공소시효 배제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저와 민주당은 대통령 권한대행에 의해 거부된 국가 폭력범죄 시효 배제에 관한 법을 재의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제주 4·3 사건은) 대한민국 정부 최초의 계엄령이었고, 제주도민 10분의 1에 해당하는 3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아무런 잘못도 저지르지 않은 채 총칼에 의해 죽어갔다”며 “이런 국가 폭력은 어떤 경우에도 용서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다시는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그(윤석열 대통령)가 살아 있는 한 국가폭력 범죄에 대해선 책임 묻는 형사처벌하는 법안이 필요하다”며 “(국가범죄 시효 배제법이) 내란동조 세력인 국민의힘에 의해 거부된다면 그 후에라도 반드시 재발의해서 통과시키도록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이었던 최상목 경제부총리는 국가범죄 시효 배제법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했다. 최 부총리는 “적법하게 직무를 수행한 공무원, 나아가 공무원의 유족까지 무기한으로 민사소송과 형사고소·고발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