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호관세에 통상전쟁 격화
中 “반격 조치 취해 국익 수호할것”… EU, 42조원 보복 관세에 추가 조치
日 “지극히 유감” 부처 긴급 논의… “세계 자유무역시대 막내려” 평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34%의 상호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자 중국은 3일 즉각 반격을 예고했다. 중국 상무부는 이날 “미국은 오랫동안 (스스로) 국제 무역에서 막대한 이익을 얻고 있다는 사실도 무시하고 있다”며 “반격 조치를 취해 국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미국과 중국의 본격적인 통상 전쟁이 격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도 같은 날 미국이 EU에 20% 관세를 부과하자 “세계 경제는 엄청난 고통을 겪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무토 요지(武藤容治) 일본 경제산업상 또한 “지극히 유감”이라고 밝혔다.
세계 각국이 미국의 상호 관세에 대한 긴급 대책 마련에 나선 가운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구축됐던 ‘자유무역 시대’가 막을 내리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관세 전쟁으로 대공황이 심화된 1930년대로 돌아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EU “다양한 보복 준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3일 미국의 관세 공격 영향을 받을 산업의 기업인들을 파리 대통령실(엘리제궁)로 불러 대책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유럽의회 제1당 격인 유럽국민당(EPP)의 만프레트 베버 대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 부과 날을 ‘미국 해방의 날’이라고 거론한 것을 문제 삼아 “오늘은 해방의 날이 아닌 분노의 날”이라고 비판했다.
● 베선트 “보복에 나서지 말라” 경고
24%의 상호 관세를 부과받은 일본의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총리는 3일 외무성, 경제산업성 등 관련 부처들과 긴급 대응 방안을 협의했다. 그는 이날 오후 총리 관저에서 기자들에게 “극히 유감스럽다”면서 “미국 측에 (관세) 조치의 재검토를 강력히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대화하는 것이 적절하다면 가장 적절한 시기,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을 전혀 주저하지 않겠다”고도 했다. 공영 NHK는 “각국 정부, 금융시장 관계자 사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협상 카드’로 삼아 실제로 실행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도 있었지만 오늘 연설로 완전히 배신당한 모양새가 됐다”고 진단했다.
“캐나다와 함께한다” 국경 인근 美주민, 상호관세 반대 시위 2일 미국 뉴욕주 버펄로와 캐나다를 잇는 ‘평화의 다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반대하는 버펄로 시민들이 ‘캐나다와 함께한다’는 팻말을 들고 시위를 벌였다. 유명 관광지 나이아가라 폭포와 가까운 버펄로의 지역 경제는 캐나다인의 관광 지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주민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거듭된 관세 관련 정책 발표로 생계가 위협받을 것을 우려하고 있다. 버펄로=AP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주요국들이 미국의 조치에 반발하며 보복을 예고하자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미국이 더 강경한 보복에 나설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2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모든 국가에 보내는 충고는 ‘보복에 나서지 말라’는 것”이라며 “(미국의 상호 관세를) 순순히 받아들인 뒤 어떻게 상황이 전개되는지 지켜보라”고 했다.
파리=조은아 특파원 achim@donga.com
도쿄=황인찬 특파원 hic@donga.com
김보라 기자 purple@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