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전 11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인용시 6월3일 대선 유력…여야 대선 체제 전환
기각·각하시 직무 복귀…담화·개헌 가능성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율곡로 헌법재판소 방향 도로에 폴리스라인이 설치되어 있다. 2025.04.03. 20hwan@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정금민 이재우 한재혁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이 다가왔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선고 결과에 따라 윤 대통령 거취는 물론 '조기 대선' 여부 등 향후 정국 향방도 갈리게 된다. 헌재의 탄핵 심판 결정이 어느 쪽으로 마무리 되든 정치권은 격랑 속으로 빠져들어갈 전망이다.
헌법재판소는 4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헌재 대심판정에서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기일을 연다. 만약 헌재가 윤 대통령 탄핵 인용을 선고하면 대통령 궐위에 따라 조기 대선이 치러지고, 반대로 탄핵소추안을 기각·각하하면 윤 대통령은 직무에 즉각 복귀한다.
◇尹 탄핵 인용 시 '60일 이내' 조기 대선
여야 정치권은 헌재가 탄핵소추안을 인용하면 곧바로 대선 모드에 돌입할 전망이다. 헌법과 공직선거법 등에 따르면 대통령이 궐위된 다음 날부터 60일 이내에 차기 대통령을 선출해야 한다. 이 경우 오는 2027년 3월로 예정됐던 21대 대통령 선거가 이르면 5월, 늦어도 6월 3일께 치러진다.
국민의힘은 탄핵 반대를 희망했던 지지자 달래기에 나서는 한편 조기 대선 체제로의 전환을 도모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반탄(탄핵 반대) 집회를 이끄는 등 탄핵 정국동안 대야 장외 투쟁 행보를 보였던 강경파를 필두로 당 지도부를 향한 책임론도 불거질 것으로 예상되나 조기대선을 앞두고 대안이 부재하다는 현실론으로 인해 이내 힘을 잃을 것이란 관측이다.
더불어민주당도 곧바로 대선체제로 전환된다. 유력 대권주자인 이재명 대표는 당 대표직을 사퇴하고 대선 도전을 공식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박찬대 원내대표가 당 대표 직무를 대행하며 선거 관리, 경선 일정 등을 관리하게 된다.
당내 후보들의 의견을 취합해 경선 룰이나 선출 과정도 조속히 이뤄질 전망이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인용으로 치러진 조기 대선 당시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는 약 3주가 소요됐다.
◇기각·각하되면 尹 즉시 직무 복귀…'개헌' 등 정국 요동
지난 2월 헌재 탄핵 심판 최종 변론에서 "잔여 임기에 연연할 이유가 없다. 개헌과 정치 개혁 추진에 임기 후반부를 집중하려 한다"고 한 만큼 개헌 작업에 착수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사실상 조기대선을 전제로 움직여온 정치권은 혼란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지도부의 경우 대국민 사과와 동시에 질서 있는 수습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와 원내대표 선출도 할 것으로 보인다. 당헌당규상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의 임기와 추경호 전 원내대표의 잔여 임기를 수행하는 권성동 원내대표의 임기가 오는 6월 초 종료될 예정이기 떄문이다.
민주당은 대선체제에서 평시체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이재명 대세론'이 흔들리거나 비명(비이재명)세력의 반격이 예상된다. 오는 2027년 대선이 치러질 경우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최종심, 대장동·백현동·위례신도시 개발 비리 및 쌍방울 대북 송금 사건 등 남은 사법리스크가 가시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민주당으로선 헌재 결정에 불복하면서 극한 투쟁에 돌입할 수도 있다. 이 대표는 지난 2일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승복' 입장을 묻자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일각에서는 김건희·명태균·내란 특검법 등 전방위 공세를 펼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 민주당 의원은 "만약 윤 대통령 탄핵 심판이 기각·각하로 결론나면 내전 수준의 혼란이 발생할 것"이라며 "민주당은 특검 카드 등을 총동원해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고의 지연 여부 등을 살펴볼 것"이라고 했다.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