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베트남 때린 상호관세
“팔수록 손해…美수출 접어야”
K뷰티도 리스크 커져 발동동
중기부, 관세대응지원책 가동
“팔수록 손해…美수출 접어야”
K뷰티도 리스크 커져 발동동
중기부, 관세대응지원책 가동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위 사진)이 3일 서울 강남구 서울본부세관에서 열린 美 관세 대응 수출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에 앞서 물을 마시고 있다. [사진 =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바이어와 100억원 수출 계약 앞두고 있었는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상호관세 때문에 10억원이 그냥 날아갔어요. 팔수록 손해가 돼버렸습니다.”
폴리카보네이트 소재 중소기업 A사 대표는 3일 발표된 미국의 중국산 제품 상호관세가 예상보다 높자 긴급회의를 소집했다. A사는 중국·베트남 공장에서 제품을 만들어 미국에 수출해왔다. 이번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기존에 있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까지 더해 평균 74%의 관세가 붙게 됐다. A사 대표는 “마진율이 10% 수준인데, 상호관세로 그냥 날아가게 생겼다”며 “미국 바이어와 재협상을 하겠지만 여의치 않다면 미국 수출을 당분간 중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에 공장이 없으면서 미국 수출 물량이 많은 기업은 비상이 걸렸다. ‘불닭볶음면’으로 미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삼양식품이 대표적이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관세가 부과됐다고 당장 미국에 공장을 지을 계획은 없다”며 “관세 때문에 가격을 인상해야 하는 상황이 오더라도 현실적으로 당장 소비자가를 올릴 수 없기 때문에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패션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기업들은 미국이나 중남미에서 자구책을 찾고 있다. 한세실업은 니카라과, 과테말라 등 공장 투자로 생산국을 다변화하고, 지난해 인수한 미국 소재업체 텍솔리니를 통해 ‘메이드 인 USA’ 제품을 늘릴 계획이다.
거래 형태에 따라 상호관세에서 한발 비켜난 기업도 있다. 핀테크 중견기업 코나아이 관계자는 “해외 금융기관 고객과 다년 계약을 체결했는데, 계약 조건에 따라 대미 수출 관세는 해외 고객사가 부담하게 된다”고 말했다.
한편 중소벤처기업부는 이날 관세청과 함께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를 열고 미국 관세 정책으로 수출 피해가 우려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신청 1개월 이내에 지원하는 ‘수출 바로 프로그램’을 도입하기로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