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연동형' 조항에 타격↓
되레 전선기업 수익성 증가 기대
美 공장 건설 등 현지화 가속
[서울=뉴시스]LS전선 미국 자회사 LS그린링크의 미국 버지니아주 공장 조감도. (사진=LS전선 제공) 2024.07.1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이지용 기자 = 미국 트럼프 정부가 한국에 대한 25%의 상호관세를 발표한 가운데 국내 전선업계는 비교적 관세 영향을 적게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관세 대상이 될 구리 등 원자잿값 상승이 되레 수익성 증가에 도움이 되는데다 고객사로부터 관세 인상분을 전가 받지 않기 때문이다. 전선 기업들은 미국 내 현지화에 속도를 내며 관세 영향을 최소화 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한국 제품에 대한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도 반도체와 철강, 알루미늄, 구리 등 일부 품목은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LS전선과 대한전선 등 국내 전선 기업들은 비교적 안정적인 사업을 이어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전선 기업들이 주로 쓰는 원자재인 '구리'는 곧 품목별 관세가 부과되는 제품이지만 국내 전선업계의 타격은 적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같은 원자잿값 상승에도 전선업계는 '에스컬레이션(원가연동형)' 조항이 있어 실제 타격은 적을 것으로 보인다. 에스컬레이션은 원자재 가격을 판매 가격에 반영하는 조항으로, 전선 기업들의 수익성이 줄어드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관세 타격을 줄일 또 다른 안전장치도 마련해 놓은 상태다. LS전선의 경우, 올 하반기부터 멕시코 케레타로주 공장에서 버스덕트 및 전기차 배터리 부품을 양산할 예정인데 관세를 내는 고객사가 LS전선에 관세 인상분을 전가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전선 기업들은 미국 현지화에도 주력해 향후 관세 리스크를 줄여나갈 방침이다.
LS전선은 이달 말 미국 버지니아주에 미국 최대 해저 케이블 공장을 착공할 예정이다. LS전선은 향후 10년간 미국 해저케이블 시장이 연평균 3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시장 선점을 위해 선제적인 투자를 결정했다.
업계 관계자는 "전선 기업들은 관세에 대비해 비교적 안전장치를 잘 마련해 놓아 타격이 적을 것"이라며 "인공지능(AI) 시장 확대에 따라 미국 내 매출 비중은 더 커질 것"이라고 전했다.
[서울=뉴시스]대한전선 당진공장 전경.(사진=대한전선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공감언론 뉴시스 leejy5223@newsis.com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