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12·3 비상계엄 이후 100일이 넘는 시간이 지났는데요.
윤 대통령에게 비상계엄의 책임을 묻는 과정도 순탄치 않았습니다.
김상훈 기자가 되짚었습니다.
◀ 리포트 ▶
[윤석열 대통령 (작년 12월 3일)]
"비상계엄을 선포합니다"
무장 병력을 태운 군 헬기가 국회 앞마당을 차지했습니다.
계엄군은 창문을 깨고 국회 본청으로 침투했습니다.
또다른 헌법기관인 중앙선관위에도 계엄군이 출동했습니다.
작전은 동시다발로 진행됐습니다.
[우원식/국회의장 (작년 12월 4일)]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은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계엄해제 요구안이 국회를 통과한 뒤에도, 윤석열 대통령은 계엄 해제에 미적댔습니다.
3시간 반 동안 국민들은 불안에 떨었습니다.
"윤석열을 체포하라, 윤석열을 체포하라."
헌법과 민주주의를 위협한 책임을 묻는 과정도 순탄치 않았습니다.
첫 탄핵 표결 시도는 무산됐습니다.
국민의힘 의원 대다수가 표결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일주일 뒤 두 번째 시도 끝에 윤 대통령 직무가 정지됐습니다.
찬성 204표, 의결정족수보다 4표 더 많았습니다.
[우원식/국회의장 (작년 12월 14일)]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탄핵재판은 수사와 동시에 진행됐습니다.
"법적·정치적 책임 문제를 회피하지 않겠다"던 윤 대통령 약속은 사라져버렸습니다.
1차 체포영장 집행은 차벽과 인간띠에 가로막혀 무산됐고, 2차 집행 때 윤 대통령은 체포됐습니다.
탄핵심판도 순조롭지 않았습니다.
헌법재판소가 보낸 서류는 18차례 반송되거나 배달되지 못했습니다.
윤 대통령측이 이의신청과 기피신청을 반복하면서 '법기술'로 시간을 끈다는 비판이 나왔습니다.
윤 대통령은 헌재에 모두 8차례 출석해 156분 발언했습니다.
자신에게 불리한 증언은 정치공작으로 몰아가며 비상계엄은 경고성이었다는 논리를 펼쳤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지난 2월 25일)]
"무력으로 국민을 억압하는 계엄이 아니라, 계엄의 형식을 빌린 대국민 호소입니다."
국회측은 "계엄 선포는 명백한 위헌 행위"라며 "윤 대통령을 파면해 헌법 수호의 의지를 보여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송두환/국회 측 대리인단 (지난 2월 25일)]
"국군 병력을 함부로 동원해서 헌법기관과 헌법 체계를 공격함으로써 헌법수호자 겸 국군통수권자로서의 능력과 자격이 없음을 스스로 증명한 사람을 대통령직에 복귀하게 할 수는 없습니다."
이후 윤 대통령이 법원의 구속 취소로 석방되면서 사법 정의 문제가 다시 불거졌습니다.
심우정 검찰총장이 수사팀 반발까지 꺾어가며 법원 결정에 불복 없이 그냥 윤 대통령을 풀어준 겁니다.
8명의 재판관은 이제 윤 대통령 파면 여부를 결정합니다.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복원과 퇴보의 중대한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MBC뉴스 김상훈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김상훈 기자(sh@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12·3 비상계엄 이후 100일이 넘는 시간이 지났는데요.
윤 대통령에게 비상계엄의 책임을 묻는 과정도 순탄치 않았습니다.
김상훈 기자가 되짚었습니다.
◀ 리포트 ▶
[윤석열 대통령 (작년 12월 3일)]
"비상계엄을 선포합니다"
계엄군은 창문을 깨고 국회 본청으로 침투했습니다.
또다른 헌법기관인 중앙선관위에도 계엄군이 출동했습니다.
작전은 동시다발로 진행됐습니다.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은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계엄해제 요구안이 국회를 통과한 뒤에도, 윤석열 대통령은 계엄 해제에 미적댔습니다.
3시간 반 동안 국민들은 불안에 떨었습니다.
"윤석열을 체포하라, 윤석열을 체포하라."
첫 탄핵 표결 시도는 무산됐습니다.
국민의힘 의원 대다수가 표결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일주일 뒤 두 번째 시도 끝에 윤 대통령 직무가 정지됐습니다.
[우원식/국회의장 (작년 12월 14일)]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탄핵재판은 수사와 동시에 진행됐습니다.
"법적·정치적 책임 문제를 회피하지 않겠다"던 윤 대통령 약속은 사라져버렸습니다.
1차 체포영장 집행은 차벽과 인간띠에 가로막혀 무산됐고, 2차 집행 때 윤 대통령은 체포됐습니다.
탄핵심판도 순조롭지 않았습니다.
헌법재판소가 보낸 서류는 18차례 반송되거나 배달되지 못했습니다.
윤 대통령측이 이의신청과 기피신청을 반복하면서 '법기술'로 시간을 끈다는 비판이 나왔습니다.
윤 대통령은 헌재에 모두 8차례 출석해 156분 발언했습니다.
자신에게 불리한 증언은 정치공작으로 몰아가며 비상계엄은 경고성이었다는 논리를 펼쳤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지난 2월 25일)]
"무력으로 국민을 억압하는 계엄이 아니라, 계엄의 형식을 빌린 대국민 호소입니다."
국회측은 "계엄 선포는 명백한 위헌 행위"라며 "윤 대통령을 파면해 헌법 수호의 의지를 보여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송두환/국회 측 대리인단 (지난 2월 25일)]
"국군 병력을 함부로 동원해서 헌법기관과 헌법 체계를 공격함으로써 헌법수호자 겸 국군통수권자로서의 능력과 자격이 없음을 스스로 증명한 사람을 대통령직에 복귀하게 할 수는 없습니다."
이후 윤 대통령이 법원의 구속 취소로 석방되면서 사법 정의 문제가 다시 불거졌습니다.
심우정 검찰총장이 수사팀 반발까지 꺾어가며 법원 결정에 불복 없이 그냥 윤 대통령을 풀어준 겁니다.
8명의 재판관은 이제 윤 대통령 파면 여부를 결정합니다.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복원과 퇴보의 중대한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MBC뉴스 김상훈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김상훈 기자(sh@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