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신영증권 연결해 밤사이 뉴욕증시 알아보겠습니다.
안예은 캐스터, 전해주시죠.
◀ 안예은/신영증권 ▶
신영증권입니다.
그야말로 검은 목요일이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 여파로 뉴욕증시가 폭락했는데요.
다우지수가 3.9% 밀렸고, 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도 각각 4.8%와 5.9% 급락했습니다.
지난 2020년, 코로나 팬데믹 국면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세가 나타났는데요.
이렇게 뉴욕 증시가 폭락하면서 3조 1천억 달러의 시가총액이 증발했습니다.
종목별로 살펴보면, 해외에서 생산되는 아이폰에 대한 미국 내 판매 가격 상승 우려로 '애플'이 9.3% 급락했고요.
'아마존'과 '메타'도 각각 8.9% 떨어졌습니다.
특히, 미국이 동남아 지역에 상대적으로 높은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의류 전문업체 '갭'이 20.2% 폭락했고, '나이키'가 14.4%, '룰루레몬'도 9.5% 하락했습니다.
관세부과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로 국제유가도 급락했는데요.
'서부 텍사스산 원유'는 6.6% 하락한 배럴당 66달러 선에서 거래됐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미국증시에 비수로 돌아왔습니다.
뉴욕증시 급락의 여파가 오늘 아시아 증시로도 전해질 텐데요.
금융시장이 크게 비명을 지른 만큼, 트럼프 행정부가 어떤 대응을 할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신영증권이었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안예은/신영증권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신영증권 연결해 밤사이 뉴욕증시 알아보겠습니다.
안예은 캐스터, 전해주시죠.
◀ 안예은/신영증권 ▶
신영증권입니다.
그야말로 검은 목요일이었습니다.
다우지수가 3.9% 밀렸고, 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도 각각 4.8%와 5.9% 급락했습니다.
지난 2020년, 코로나 팬데믹 국면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세가 나타났는데요.
이렇게 뉴욕 증시가 폭락하면서 3조 1천억 달러의 시가총액이 증발했습니다.
'아마존'과 '메타'도 각각 8.9% 떨어졌습니다.
특히, 미국이 동남아 지역에 상대적으로 높은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의류 전문업체 '갭'이 20.2% 폭락했고, '나이키'가 14.4%, '룰루레몬'도 9.5% 하락했습니다.
관세부과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로 국제유가도 급락했는데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미국증시에 비수로 돌아왔습니다.
뉴욕증시 급락의 여파가 오늘 아시아 증시로도 전해질 텐데요.
금융시장이 크게 비명을 지른 만큼, 트럼프 행정부가 어떤 대응을 할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안예은/신영증권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