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번엔 윤석열 대통령이 머물고 있는 용산 한남동 관저 앞 소식 전해 드리겠습니다.
김태원 기자, 밤사이 그곳에서도 탄핵 찬반집회가 열렸다는데, 현장 분위기 전해주시죠.
<기자>
네, 용산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 나와 있습니다.
아침 시간대라 아직 집회 참가자들이 많지 않지만, 탄핵 찬반 양측 모두 10시부터 이곳 관저 앞에서 대규모 집회를 예고한 터라 경찰은 바리케이드를 세우고 곳곳에 인력을 배치하며 삼엄한 경계태세를 갖추고 있습니다.
또 용산구는 안전사고에 대비해 관저 인근 육교의 통행을 제한한 상태입니다.
찬반 양측의 충돌과 폭력 사태 등을 우려해 경찰은 관저앞 약 200m 구간의 인도를 통제하고 있습니다.
시민들의 통행은 가능하지만 출입하는 사람들의 신분을 일일이 확인하고 있고 이 구역 안에서의 집회 활동은 제한됩니다.
이곳을 사이에 두고 북쪽인 루터교회 앞에선 탄핵 반대 집회가, 남쪽인 일신 빌딩 앞에선 탄핵 찬성 집회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밤새 찬반 집회가 열렸는데 날이 밝면서 점차 더 많은 시민들이 관저 앞으로 모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앵커>
오늘 윤 대통령은 헌재 선고에는 직접 참석하지 않는 거죠?
<기자>
네, 윤 대통령은 어제 탄핵 심판 선고에 출석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곳 관저 안에서 심판 결과를 지켜볼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윤 대통령이 탄핵 심판에 불출석하겠다고 밝히자, 탄핵 반대 집회를 주최하는 대국본 측은 기존에 예고한 광화문에서 이곳 한남동 관저 앞으로 집회 장소를 옮기기로 했습니다.
헌재와 서울 구치소 앞에도 일부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모이겠지만, 대다수가 이곳 한남동 관저 앞으로 올 예정이라 긴장감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대통령 변호인단 측은 대통령실이 있는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서 선고 결과를 지켜본 후, 탄핵이 기각될 시 직무복귀 환영 집회를 열겠다고 예고했습니다.
김태원 기자 buhwal@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번엔 윤석열 대통령이 머물고 있는 용산 한남동 관저 앞 소식 전해 드리겠습니다.
김태원 기자, 밤사이 그곳에서도 탄핵 찬반집회가 열렸다는데, 현장 분위기 전해주시죠.
<기자>
네, 용산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 나와 있습니다.
아침 시간대라 아직 집회 참가자들이 많지 않지만, 탄핵 찬반 양측 모두 10시부터 이곳 관저 앞에서 대규모 집회를 예고한 터라 경찰은 바리케이드를 세우고 곳곳에 인력을 배치하며 삼엄한 경계태세를 갖추고 있습니다.
찬반 양측의 충돌과 폭력 사태 등을 우려해 경찰은 관저앞 약 200m 구간의 인도를 통제하고 있습니다.
시민들의 통행은 가능하지만 출입하는 사람들의 신분을 일일이 확인하고 있고 이 구역 안에서의 집회 활동은 제한됩니다.
이곳을 사이에 두고 북쪽인 루터교회 앞에선 탄핵 반대 집회가, 남쪽인 일신 빌딩 앞에선 탄핵 찬성 집회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앵커>
오늘 윤 대통령은 헌재 선고에는 직접 참석하지 않는 거죠?
<기자>
윤 대통령은 이곳 관저 안에서 심판 결과를 지켜볼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윤 대통령이 탄핵 심판에 불출석하겠다고 밝히자, 탄핵 반대 집회를 주최하는 대국본 측은 기존에 예고한 광화문에서 이곳 한남동 관저 앞으로 집회 장소를 옮기기로 했습니다.
헌재와 서울 구치소 앞에도 일부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모이겠지만, 대다수가 이곳 한남동 관저 앞으로 올 예정이라 긴장감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김태원 기자 buhwal@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