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정부와 서울시가 강남 3구와 용산구 아파트 전체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지 일주일째인 지난달 30일 서울 송파구 잠실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 모습
서울 토지거래허가구역을 강남 3구와 용산구 아파트 전체로 확대 지정한 뒤 2주 동안 이들 4개 구의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가 10건이 채 되지 않았습니다.
서초구와 용산구는 아직까지 거래 신고가 한 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강남3구와 용산구 전체 아파트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3월 24일 이후 이날 현재까지 서울시 전체 매매 신고 건수는 총 629건으로 집계됐습니다.
강남구가 8건, 송파구가 1건이며 서초구와 용산구는 2주간 거래 신고 건수가 한 건도 없었습니다.
송파구는 토허제 확대 지정 후 2주간 개인 간 직거래로 팔린 잠실 우성아파트 전용면적 131㎡ 단 1건만 신고되는 데 그쳤습니다.
이번에 일반 아파트까지 새롭게 토허제로 지정된 서초구와 용산구는 아직까지 거래 신고가 한 건도 없습니다.
실제 거래는 됐으나 아직 신고되지 않은 것들도 있겠지만, 토허제 확대 전에 비하면 매수세가 확연히 꺾였다는 게 부동산 업계의 평가입니다.
올해 들어 집값이 오르면서 직거래 비중은 감소했습니다.
직거래는 중개업소를 거치지 않고 개인 또는 법인 등 계약 당사자들끼리 사고파는 것입니다.
일부는 중개수수료를 아끼려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특수관계인 간의 증여성 저가 양도 목적의 직거래가 많습니다.
이때 내야 하는 양도소득세가 상속·증여세보다 낮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로 집값이 약세일 때 증여성 저가 양도가 많이 이뤄집니다.
집값 하락기에는 시세보다 싼 급매물 거래가 많아 양도 가격을 낮추기에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실제 국토부 실거래가시스템 분석 결과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집값이 하락했던 지난해 4분기(10∼12월)에는 서울 아파트 직거래 비중이 평균 7.1%에 달했습니다.
특히 집값이 단기 최저점이던 작년 12월 계약분의 직거래 비중은 11.6%에 달했습니다.
12월 당시 계약 해제된 거래 비중도 7.0%로, 3분기(3.8%)와 4분기(5.9%) 평균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올해 들어서는 금리 인하와 토허제 해제 등의 이슈로 아파트값이 다시 오르면서 직거래 비중도 평균 2.9%로 낮아졌습니다.
다만 토허제 해제와 확대 등 오락가락한 지난 3월 강남구(3.0%)와 송파구(4.3%), 용산구(3.9%)의 직거래 비중은 서울 평균보다 높았습니다.
특히 서초구의 3월 직거래 신고 건수는 총 17건으로 전체(138건) 신고 건의 12.3%에 달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정준호 기자 junhoj@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