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입원 기간 10년간 82% 감소…"고혈압 이유로 입원 부적절"
고혈압 |
(서울=연합뉴스) 오진송 기자 = 지난 10년간 고혈압 환자의 입원 기간이 대폭 감소했지만, 병·의원급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여전히 불필요한 입원 치료가 이뤄졌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7일 2010∼2019년 고혈압과 폐렴 입원 환자의 입원 기간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분석 결과 고혈압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은 2010년 38.1일에서 2019년 7.0일로 81.6%(31.1일) 감소했다.
같은 기간 폐렴 환자는 16.1일에서 11.7일로 27.3%(4.4일) 감소했다.
폐렴 환자의 '의료기관 간 차이로 발생하는 비중'은 2010년 21.0%에서 2019년 9.6%로 감소했지만, 같은 기간 고혈압 환자는 25.7%에서 31.3%로 증가했다.
고혈압과 폐렴 모두 종합병원급 이상(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보다 병원급 이하(병원·의원)에서 의료기관에 따른 입원 기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간 차이로 발생하는 비중은, 고혈압의 경우 종합병원급 이상 19.6%, 병원급 이하 51.8%이고, 폐렴은 각각 6.5%, 26.0%였다.
연구원은 "고혈압을 주된 원인으로 입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특히 병원·의원급의 입원 치료의 비효율이 존재함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고혈압·폐렴 환자 의료기관 종별 평균 입원기간 |
dindong@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